사회 사회일반

버핏의 '두 얼굴'

한쪽선 파생상품 비판…한쪽선 규제완화 로비<br>파생상품에 630억달러 투자도<br>주총서 어떤 해명 나올지 주목


파생상품을 '대량살상무기'라며 강력히 비판해온 워런 버핏 버크셔해서웨이 회장이 파생상품 규제를 풀기 위해 정치권에 로비를 했던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버크셔해서웨이가 파생금융상품에 630억달러를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돼 버핏의 이중성이 크게 부각되는 모습이다. 버핏의 파생상품 로비는 오는 5월1일 버크셔해서웨이 연례 주주총회에서 주주들이 거론할 가능성이 있어 어떤 해명이 나올지 주목된다. 월스트리트저널(WSJ) 인터넷판은 26일(현지시간) 민주당 상원의원들이 '버핏의 로비'로 파생상품규제 완화 조항이 금융개혁 법안에 포함될 뻔했으나 이를 삭제하기로 결정했다고 보도했다. 앞서 WSJ는 26일자 배달판에서 버핏이 로비를 통해 자신의 회사에 금융개혁 법안이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파생상품 규제완화 조항을 삽입시켰다고 전했다. 버핏의 로비는 성공할 뻔했다. 버크셔해서웨이 본사가 있는 네브래스카주의 벤 넬슨 민주당 상원의원(농업위)은 파생상품규제 법안을 손질, 잠재적 손실에 대비한 일종의 대손충당금 적립 의무를 기존 보유분에 소급 적용하지 않도록 하는 조항을 포함해 가결시켰다. 여기에는 찰스 그래슬리 공화당 의원의 찬성이 커다란 힘이 됐다. 이렇게 되자 민주당은 앞서 금융위를 통과한 금융개혁 법안(일명 도드 법안)과 농업위 법안을 병합하기로 하면서 파생상품규제 조항은 농업위 조항으로 대체하기로 결정했다. 공화당의 필리버스터(의사진행 방해)를 저지할 수 있는 '슈퍼60석'에 단 1석이 부족한 민주당으로서는 그래슬리 의원의 지지가 절실했기 때문이다. 이 흐름이 굳어졌다면 630억달러의 파생상품을 보유한 버크셔해서웨이는 80억달러의 적립금을 채워넣지 않아도 된다. 버핏이 파생상품 규제완화에 대한 로비를 시도한 것은 해서웨이 자회사인 미드아메리칸에너지가 에너지 가격 급변동을 헤지하기 위해 대량의 파상상품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WSJ가 파생상품 규제 조항에 허점이 있다고 1면 톱으로 보도하면서 흐름이 바뀌었다. 민주당은 금융위와 농업위 법안을 비교한 뒤 결국 문제의 조항을 삭제하기로 결정했다. 백악관도 앞서 "파생상품 규제에 허점이 있다면 거부권을 행사할 것"이라며 '버핏 조항'에 대한 반대 입장을 표명한 바 있다. WSJ는 "해서웨이는 필사적인 로비를 했다"며 "데비이드 소콜 미드아메리칸 회장은 다수의 상원의원들을 찾아가 버핏의 이름을 들먹이면서 기존 계약분의 소급적용 삭제를 요청했다"고 전했다. 신문은 이어 "버핏의 로비는 복잡한 법안의 자구 하나가 대기업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