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FRB 의장 교체 여파 만만찮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벤 버냉키 신임의장이 앨런 그린스펀 전(前)의장과는 달리 공격적이고 예측이 어려운 통화정책을 펼침으로써 한국에 만만찮은 여파를 미칠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1일 내놓은 'KERI 경제전망과 정책과제' 보고서를 통해 "버냉키 의장의 FRB 이사 시절 행적 등을 살펴볼 때 그린스펀 전 의장에 비해서는 선제적이고 공격적인 통화정책을 펼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하고 이 경우 "국내에 유입된해외 투자자금의 이탈이 가속화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버냉키 신임의장은 그린스펀보다는 직설적인 어법의 소유자여서 정책투명성은 높아지겠지만 그의 체제 아래서 정책이 결정되는 메커니즘은 잘 알려져 있지 않아 예측가능성은 낮아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학자 출신인 버냉키 의장은 인플레이션 억제를 우선시할 것이며 그린스펀 전 의장과는 달리 정치적인 고려나 금융시장의 단기적인 반응에 크게 구애받지않을 것"이라면서 "이와 같은 성향과 미국 실물경제 성장세를 고려할 때 미국의 추가 금리인상은 종전의 일반적인 예상이었던 1-2차례를 넘어설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했다. 보고서는 "미국 금리인상은 일본의 '제로금리' 포기 정책과 맞물려 해외 투자자금의 이탈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지만 그렇더라도 국내금리의 인상으로 대처할 경우실물경기 위축과 주가에 대한 부정적 영향으로 오히려 역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주장했다. 또 "해외 금리인상으로 야기된 투자자금 이탈은 환율에는 긍정적으로 작용하는측면도 있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보고서는 "버냉키 의장이 통화정책의 독립성 유지를 위해 대외정책 면에서는 행정부의 입장을 더욱 적극적으로 옹호할 것으로 보인다"며 "이 경우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에서도 국내 서비스 및 금융분야에 대한 미국의 개방요구는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한편 한경연은 "내수가 회복되고 심리지표들이 개선되는 등 경기의 견조한 회복국면이 이어지고 있다"고 평가하고 올해 경제성장 전망치를 지난해 12월과 같은 4.9%로 유지한다고 밝혔다. 한경연은 그러나 예상보다 빠른 원화의 대미달러 환율 하락에 따라 경상수지 적자는 지난해 166억달러에서 올해에는 28억달러 수준으로 급감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