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외인 지분율 높을수록 배당규모 커

외국인 지분율 50%이상 기업 작년 배당금 132% 증가

외국인 지분율이 높은 기업일수록 현금배당 규모가 크고 전체 배당액에서 외국인이 가져가는 비율도 해마다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금융정보업체 와이즈에프엔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결산 상장법인 1,719곳 중 지난 10일 현재 현금배당을 결정한 885개 기업이 지급할 총 배당금액은 15조7,234억원으로 집계됐다. 2013년 12월 법인 전체 배당액 13조2,267억원보다 18.9% 많은 것이며 아직 지난해 결산배당이 모두 발표되지 않은 점을 감안하면 증가폭은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외국인 지분율이 높은 기업들의 배당 확대 경향이 눈에 띈다. 외국인 지분율 50% 이상인 기업의 경우 지난해 배당금이 5조6,254억원으로 전년 대비 132.62%나 늘었다. 이에 반해 외국인 지분율 30% 미만 기업들의 배당금은 전년 대비 18.94% 증가에 그쳤다. 지분율 30~50% 사이에 위치한 기업들은 되레 배당금이 전년보다 32.39% 감소했다. 국내 기업들의 배당성향이 선진국 수준에 못 미친다는 지적 속에 외국인의 지분 비율이 높은 기업들이 배당 등 주주환원정책 확대 요구를 수용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대장주'인 삼성전자의 경우 외국인 지분율이 2013년 49.7%에서 2014년 51.8%로 늘었다. 배당금 총액은 3조원으로 전년 대비 39.1% 증가했다.

또 지난해 12월 결산법인으로부터 외국인들이 받게 된 총 배당금은 전체 배당금 총액의 35.7%인 5조6,086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21.4% 늘어난 것으로 전체 배당금 증가율 18.9%를 앞질렀다. 전체 배당금 대비 외국인이 받는 배당 비중도 2012년 33.1%, 2013년 34.9%, 2014년 35.7% 등 매년 증가세다. 이 기간 국내 증시 시가총액 가운데 외국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2년 32.5%, 2013년 33%, 2014년 31.6%를 계속해서 웃돈다.

이와 같은 흐름이 배당을 중시하는 외국인의 투자 성향에 부합하지만 일각에서는 정부가 추진 중인 배당확대정책이 외국인투자가들의 이익만 높여 국부유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가계소득 증대를 노리고 정부가 추진해온 배당확대 정책의 취지와는 어긋나는 대목이다. 김윤경 한국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은 "배당 증가분이 외국인과 대주주에게 쏠리고 있다는 점, 금융소득은 실물소비로 이어지는 게 아니라 대개 금융 재투자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정책 수혜자와 목적 양쪽에서 문제점이 발견된다"고 지적했다.


박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