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분양가 할인해도 안해도 부담" … 업체들 진퇴양난

'지방 미분양 양도세 감면 연장' 발표후 10여일…<br>효과 장담할 수 없어 선뜻 가격인하 못나서 일부선 담합 움직임도


'분양가를 할인해도 고민, 안 해도 고민….' 정부가 지방 미분양 주택에 대해 분양가 인하와 연동해 양도세 감면 혜택을 연장하겠다고 밝힌 지 10여일이 지났지만 지방 건설업체들은 이렇다 할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오히려 진퇴양난의 미궁으로 빠져 들고 있다. 분양가를 할인하면 기존 계약자들의 반발로 입주율이 오히려 저하될 수 있고 할인을 한다고 해도 효과를 장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여기에 인근 지역에서 신규분양을 준비하는 다른 건설업체들의 분양가 인하에 대한 반발도 부담이 되고 있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18일 정부의 지방 미분양 양도세 감면 대책이 나온 후에도 지방 아파트사업장은 대부분 기존의 미분양 마케팅을 유지할 뿐 분양가격 자체를 인하하려는 움직임은 보이지 않고 있다. 대구 동구에서 준공 이후 미분양 아파트를 분양하고 있는 A건설사의 한 관계자는 "현재도 잔금을 4개월 안에 납부할 경우 분양가의 10%가량을 할인해주는 혜택을 실시하고 있다"며 "분양가격 자체를 인하하는 방법을 쓴다고 해도 소비자들이 느끼는 체감 분양가에는 차이가 없는데다 오히려 대표적인 미분양 단지로 소문나는 역효과만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기존 계약자들은 정부 발표 이후 분양가 인하를 거세게 요구하고 있어 건설업체의 부담만 늘고 있다. 충남 당진에서 막 입주가 시작된 L아파트 분양대행사의 한 관계자는 "잔금을 치르고 있는 기존 계약자들 사이에서 분양가를 깎아달라는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며 "정부가 지방 수요자들에게 기대감만 높여줘 기존에 분양한 물량의 입주조차 제대로 진행하기가 힘든 상황이다"고 말했다. 대구 남구에서 미분양 물량을 분양하는 한 시행사의 관계자도 "현재로서는 분양가를 할인할 계획이 없는데 기존 계약자들이 남은 물량을 할인하고 기존 계약 물량도 소급해 깎아달라고 해서 골치가 아프다"며 "정부가 도리어 건설업체에 짐을 얹은 셈"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일부 지역에서는 분양가 인하와 관련해 건설업체들 간 답함 움직임까지 나타나고 있다. 한 단지에서 분양가 인하가 시작될 경우 연쇄적인 분양가 인하가 불가피해지고 이럴 경우 해당 지역에서는 신규분양 자체가 불가능해질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중견 건설업체인 S사의 한 관계자는 "대구 같은 지방 사업장의 업체모임에서는 미분양 물량에 대해 분양가를 할인하지 말자는 얘기가 오간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이번 정부의 지방 미분양 양도세 감면 대책이 '빛 좋은 개살구'에 그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지난해 조건 없는 양도세 감면 대책에도 불구하고 지방 미분양 해소 효과가 미미했던 만큼 건설사들이 출혈 경쟁 식으로 분양가를 깎는 모험을 강행하지는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중견 건설사의 한 주택영업본부장은 "건설업체가 선택하기 나름이라고 하지만 어떤 선택을 해도 부담이 되는 것은 사실"이라며 "정부 대책은 아예 손해를 보고 팔라는 셈인데 당장 회사가 넘어갈 상황이 아닌 한 그 같은 선택을 하기가 힘들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