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인터넷 경제대통령 '미네르바' 신원 밝혀졌다

정보당국 신원 확인… "인터넷 논객에도 재갈" 네티즌 비판 잇따라

정보당국이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의 불똥이 한국에 옮아 붙는다고 예측해 유명세를 탄 네티즌 논객 '미네르바'의 신원을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매일경제에 따르면 정보당국은 미네르바에 대해 '나이는 50대 초반이고 증권사에 다녔고 또 해외에서 생활한 경험이 있는 남자'로 파악하고 있다. 그의 신상을 확인했는지에 대해서는 정보당국 관계자는 "확인해줄 수 없다"고 밝혔지만 "미네르바에게 정확한 통계자료와 정부 입장을 전해줄 필요가 있다고 판단해 대강 누구인지는 알아봤다"고 밝혔다고 신문은 전했다. 다음 아고라에서 활동하는 그는 리먼브러더스의 파산을 예견한 것은 물론 현 정부의 정책 문제점에 대한 비판과 환율, 부동산, 주식 등에 대한 예리한 분석으로 인기를 모았다. 그러나 폭발적인 관심에 부담을 느낀 탓인지 지난 4일 "잡혀 가기는 뭘 잡혀 가니. 내일 요양치료나 받으러 병원 가는데"라는 글을 마지막으로 올리고 글쓰기를 중단했다. 정부는 그의 글로 인해 한국 경제에 대한 비관적인 전망이 확산돼 경제불안이 가중됐다고 보고 있다. 매일경제에 따르면 정부는 미네르바가 글을 쓰면서 잘못된 통계를 인용하거나 근거 없이 정책을 비판하는 경우가 있었고 '코스피 1차 저점은 820, 2차 저점은 500'이라고 주장하는 등 미확인 루머를 퍼뜨린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정부는 미네르바가 전여옥 한나라당 의원과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미리 정보를 알고 재산을 불렸다는 식으로 비판하면서 명예훼손까지 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이에 따라 사정당국이 미네르바에 대한 수사 가능성을 밝히기도 했다. 미네르바가 '병원간다'는 내용의 마지막 글을 올린 4일 민주당은 논평을 통해 "국회 대정부질문에선 일부 의원이 미네르바의 글들에 대해 사정당국의 수사를 촉구하자 이에 김경한 법무부 장관이 수사 가능성을 내비쳤다. 경제적 식견을 가지고 리먼브러더스 사태를 예견하고, 한국 경제에 대한 날카로운 전망을 했다는 것이 죄가 될 수도 있다는 세상이 됐다"고 비판한 바 있다. 매일경제에 따르면 정부와 청와대는 일단 미네르바가 활동을 중단했기 때문에 이 문제에 손을 대지 않기로 했다. 그러나 수사 가능성을 포기한 건 아니다. 청와대 관계자는 매일경제 인터뷰에서 "그가 활동을 재개하고 그 이후에 허위 사실을 유포한다고 판단될 경우 적극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를 바라보는 네티즌의 시선은 곱지 않다. 당장 네티즌들은 "인터넷 논객에도 재갈 물리게? 참 무섭다 무서워" "누가 고소한 적도 없고, 허위 사실을 유포하지도 않았는데 신상을 파악해도 되나? 이번 정권은 공권력을 그런 식으로 집행하는가" "해도 너무하네. 바른말도 못하겠네" "바른 말 하면 잡아 족치겠다는 건가?" 등의 글을 올리며 당국의 대응을 비판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