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그렇다면 머리는 누구냐(사설)

정치인들이 줄줄이 검찰에 소환되고 있다. 검찰청사의 문턱이 닳을 지경이다. 한보비리 재수사가 마치 정치인 소환 조사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듯하다.한보 재수사와 국회국정조사의 핵심은 한보특혜 대출의 외압 실체와 김현철씨 의혹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 의혹이 파헤쳐지지 않고서는 한보의혹은 풀리지 않기 때문이다. 검찰의 재수사도 1차때와 마찬가지로 각본수사·해명수사·짜맞추기 의혹을 부풀리고 더 큰 불신만 사게 될 것이다. 그런데도 검찰수사는 초점을 잃고 있다. 국회청문회도 이미 기대할 것이 없는 상황으로 되어가고 있는 마당에 검찰수사마저 본질에서 멀리 벗어나 있는 느낌이다. 그렇게 느껴질 수밖에 없는 것이 수사가 정태수씨 입에 지나치게 의존, 갈피를 잡기 어려운 리스트가 흘러나와 정치권을 혼란에 빠뜨렸고 리스트에 오른 정치인들이 잇달아 소환됨으로써 마치 한보사건이 순전히 정치적문제로 변질된 것으로 비치기 때문이다. 끝내는 국회의장까지 소환되기에 이르렀고 조기매듭설과 반발로 정치권과 검찰이 갈등을 빚는 양상으로 번지고 있다. 이로인해 한보비리 의혹 수사의 본질이 희석되고 김현철씨와 한보는 무관하다는 결론을 끌어내기 위한 해명성 수사라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더욱 아리송한 것은 한보특혜대출 외압의 몸체가 둘이 되었다는 점이다. 깃털론을 폈던 홍인길 의원은 스스로 몸체로 변신했다. 여기에 정씨도 몸체라고 자처했다. 아무리 봐도 이들은 몸체일수 없다. 청와대 총무수석이 압력을 넣었다고 해서 산전수전 다겪고 계산이 밝은 은행장이 그 엄청난 돈을 선뜻 대출해주진 않는다. 하물며 국회의원의 영향력으로는 그만한 특혜대출이 가능할 리 없다. 정씨는 로비의 귀재일지 모르나 몸체란 가당치도 않다. 그런데도 그들은 몸체라고 주장한다. 그렇다면 몸체를 움직이게 뒤에서 조종한 「머리」는 누구인가. 검찰의 수사는 이 머리를 찾아 내는데 집중되어야 한다. 정치권의 압력에 굴복해서도 안되지만 이것이 몸체라고 성급히 결론 내려서도 안된다. 정도 수사만이 의혹을 해소하고 검찰에 대한 국민적인 불신도 씻을수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