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盧의 美 ‘코드’ 맞추기

노무현 대통령이 취임 이후 첫 정상외교로 미국을 선택했음에도 미 언론들의 반응은 냉소적인 모습이었다. 심하게 보면 `비아냥`에 가까웠다. 미국의 보수를 대변하고 있는 뉴욕 타임즈를 비롯해 대다수 미국 언론들이 보인 반응은 이랬다. 불과 1년전까지만 해도 반미(反美)주의자를 표방했던 노 대통령이 왜 갑자기 친미(親美)주의로 돌변했나. 그들은 정치를 위해서 반미를 외치다가 아쉬워 지니까 친미를 부르짖고 있다고 대한민국 국민을 대표하고 있는 대통령을 비웃었다. 결론은 노 대통령이 자세를 바꿔 미국은 좋은 나라, 혈맹의 나라라고 얘기하고 있지만 `또 언제 어떻게 변할 지 모른다. 그렇기 때문에 신뢰하기엔 좀 위험이 있다`였다. 객관적으로 봐서도 미국 언론의 `노무현 바라보기`는 일면 수긍이 가는 점이 많다. 노 대통령은 당선전이나 당선 직후나 `자주적인 외교. 자주적 한미관계`를 강조했다. 미국이 잘 살고 군사적인 힘도 있지만 그에 굽힘이 없이 우리가 할 말은 정확하게 전달하겠다는 뜻이었다. 그 말을 믿은 많은 사람들은 `노란 손수건`을 흔들며 환호했다. 그 환호는 또 `표`로 연결됐다. 그러나 노 대통령이 난생 처음 미국에 첫 발을 내디딘후부터 그동안 했던 말은 거품처럼 사라진 듯 하다. 원했든 원하지 않았든 `정당한, 대등한, 자주적인` 미국과의 관계를 부르짖고 그를 바탕으로 당선된 노 대통령은 미국에 대해 `낮은 자세`로 임했다. 미국에 도착하면서부터 `미국은 좋은 나라. 부러운 나라, 희망의 나라`로 칭송의 대상이었다. 국내에서는 자신의 코드(Code)맞추기를 강력하게 밀어붙이다가 태평양을 건너서는 코드 맞추기의 대상으로 몸을 낮출 수밖에 없었다는 얘기다. 그 결과 미국은 흡족한 표정이다. 친한국적인 미국 사업가라고 볼 수 있는 폴 챔버린 한미 컨설팅사 회장은 이번 한미정상회담에 대한 성과를 묻는 질문에 “매우 예외적으로 성공한 미팅”이었다고 대답했다. 그러나 우리가 주목하는 것은 그 결과를 도출해 내기위해 노 대통령이 보인 자세다. 부시대통령과의 첫 대면에서 예상한 만큼의 성과를 거두긴 했지만 대다수 국민들이 기대하던 성과에는 턱없이 못 미쳤다는 게 이번 한미정상회담을 지켜본 국내외 언론들의 시각이다. 노대통령의 이번 방미 하이라이트인 정상회담을 지켜보고 느낀 점은 `코드맞추기`가 항상 국력이나 국익과는 직결되기 어렵다는 것이었다. 나중에 노 정권의 역사에 대한 평가가 어떻게 나올 지 궁금하다. <워싱턴(미국)=박동석기자 everest@sed.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