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나라의원단 中서 탈북자문제 기자회견 무산

중국 공안과 대치… 협상 11시간만에 구두 성명 합의

김문수 의원 등 한나라당 의원단 4명은 12일 오후 베이징(北京)에서 탈북자 문제 등과 관련한 내외신 기자회견을 가지려다 중국 당국의 제지를 받은 뒤 13일 새벽 1시(한국시간 2시) 중국 공안의 행태를 비난하고 책임자 문책을 요구하는 구두 성명을 발표하고 상황을 종료했다. 의원단은 12일 저녁 기자회견 허용을 요구하며 베이징 창청(長城) 호텔에 마련된 회견장에서 중국 공안당국 요원들과 대치하다 나중에는 기자회견 무산 이유를 설명하기 위한 문안 작성을 놓고 이날 밤 늦게까지 중국 공안측과 협상을 벌였다. 김문수 의원은 6개항의 구두 성명에서 이날 기자회견을 무산시킨 중국 공안의행태를 대한민국 국회의원을 무시하고 언론의 자유를 침해한 폭거로 규정하고 이날 기자회견장에 난입한 이들의 신원 공개 및 그 책임자 문책을 요구했으며 한국 정부에 대해서도 외교채널을 통해 중국측에 적절한 조치를 요구할 것을 촉구했다. 의원단은 사태 발생 7시간만인 12일 저녁 9시경 공안측과 대체적인 합의를 본뒤 상황을 설명하려 했으나 공안들이 기자들을 거세게 몰아내자 김문수 의원 등이거세게 항의하며 잠시 연좌하는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이후 김 의원 등은 다시 공안측과 협상을 시작했고 박승환 의원이 호텔 1층에있는 공안 사무실을 오가며 상황 설명 문안 작업을 벌였다. 한나라당 의원들은 구두 성명을 낭독하는 것으로 이번 상황을 종료하고 인근 숙수로 향했으며 13일 오전 8시 항공기편으로 칭다오(靑島)를 방문, 탈북자를 지원한혐의로 현지 교도소에 수감돼 있는 한국인 최 모씨를 만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앞서 김문수 최병국 배일도 박승환 의원은 이날 오후 2시 베이징 창청호텔 2층소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가질 예정이었으나 회견을 시작하려는 순간 갑자기 회의실내의 모든 전등과 마이크가 꺼졌다. 김 의원은 잠시 후 전원이 들어오자 회견을 재개하고 탈북자 인권문제 등에 대한 입장을 밝히려 했으나 또 다시 전원이 꺼지면서 신원을 알 수 없는 6∼7명의 중국인들이 회견장으로 들이닥쳤다. 정장 차림의 중국인들은 신원을 밝히지 않은 채 "모두 밖으로 나가라"고 소리치며 회견장 안에 있던 30여명의 외신기자들을 포함해 모두 50여명의 기자들을 밖으로몰아냈다. 이 과정에서 AP통신 사진 기자가 머리를 얻어 맞기도 했다. 공안부 소속 요원들로 밝혀진 이들은 거듭된 신분확인 요청을 묵살한 채 "외교부의 사전 허가를 받은 뒤 회견을 하라"며 김문수 의원 등 회견장에 나와 있던 국회의원들을 밖으로 끌어내려다 이들의 강력한 항의를 받고 중단했다. 김문수 의원은 "이같은 일은 처음 당해 보는 것이다. 이번 사태에 대해 충격을금할 수 없다"며 "주중 한국대사관이나 중국 정부가 탈북자 문제를 어떻게 인식하고있는지를 잘 보여주는 사례"라고 주장했다. 김 의원과 배일도, 박승환 의원은 회견무산 사태가 발생한 이후에도 중국 당국에 기자회견 허용을 요구하며 오후 늦게까지 회견장을 지켰다. 최병국 의원은 사태발생 이후 40여분 뒤 현장을 떠났다. 양측간 대치가 이어지자 한국 외교부는 긴급회의를 열어 사태 발생 경위 및 향후 대책을 숙의하는 한편 주중 한국대사관 관계자들을 추가로 현장으로 보내 사태수습에 나서도록 지시했다. 이에 따라 주중대사관 관계자 7∼8명이 현장에 도착, 의원단과 중국측을 오가며중재에 나섰으나 양측간 입장차가 적지 않아 진통을 겪었다. 외교부 관계자는 "중국 당국은 관례상 기자회견에 대해 사전허가제를 취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외국인도 허가를 받아야 하는데 한나라당 의원들이 사전 허가 없이기자회견을 강행하면서 사건이 생긴 것 같다"고 말했다. 대치가 이어지자 김문수 의원은 이날 오후 7시께 "중국 당국의 사전허가를 받지않은 회견이라도 중도에 취소할 수 없다"면서도 "내외신 기자들을 불러 왜 회견을중단할 수 밖에 없는지 설명할 기회를 달라"고 말해 협상 가능성을 내비쳤다. 이에 대해 중국 외교부는 "현재 상황을 파악하고 있다. 원만한 처리를 원한다"라고 유연한 입장을 보였으나 공안당국은 "법에 어긋나는 위법 회견이므로 절대 허용할 수 없다"는 강경론을 고수, 타협점 마련에 난항을 겪었다. 한나라당 김문수 의원 등은 지난 10일 중국 옌지(延吉)를 방문, 탈북자 수감시설 등을 둘러본 뒤 11일 베이징에 도착했다. (베이징=연합뉴스) 박기성 특파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