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산업자본의 은행 인수 멍석 깔기냐" 당혹

"中企대출 확대 등에 안따라줘 경고 일수도"

은행권은 전광우 금융위원장의 은행 간 인수합병 유도 발언에 ‘혼란스럽다’는 반응을 보였다. 현재 진행 중인 금융위기는 지난 1997년 IMF 외환위기 때처럼 은행권의 막대한 부실 대출에서 비롯된 게 아니라 글로벌 신용경색이라는 외부 환경 변화에서 시작된 것인데 은행 구조조정의 명분을 은행 경영 부실에서 찾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그래서 금융권은 이미 매물로 나와 있는 외환은행을 비롯해 우리은행ㆍ산업은행 등에 대한 산업자본의 인수 참여를 위한 포석으로 인수합병 얘기를 꺼낸 게 아니냐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국민ㆍ하나 등 시중은행들이 자금난으로 인수 주체로 나서기 힘든 상황인 만큼 산업자본이 사모펀드(PEF) 등을 통해 은행 인수에 나설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다. 정부는 최근 산업자본의 PEF 투자한도 확대, 의결권 제한 완화 등의 정책을 내놓고 있다. 금융권은 은행들이 재무건전성을 높이기 위해 이리 뛰고 저리 뛰는 상황에서 인수합병 얘기를 하는 게 시의적절하지 않으며 먼저 금융시장을 연착륙시키는 게 급선무라는 입장이다. 그래서 은행들은 전 위원장의 인수합병 발언을 문자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다는 은행권이 최근 중기 대출이나 기업 구조조정 과정에서 당국의 뜻(?)에 제대로 따르지 못하고 있는 데 대한 경고성 발언으로 해석하고 있다. 국민ㆍ신한 등 대부분 시중 은행들의 최대주주가 외국인이다 보니 경영진이 이들의 눈치를 안 볼 수가 없고 그러다 보니 정부 당국이 종용하는 중기대출 확대, 자율적인 기업 구조조정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데 따른 불편한 속내를 비춘 것이라는 해석이다. 은행권의 한 관계자는 “금융위기 상황인데다 은행마다 인수자금 여력이 빠듯해 인수합병은 꿈도 못 꾸는 형편”이라며 “IMF 때와 달리 은행들이 정부 주도의 기업구조조정, 대출 확대를 따라주지 못하는 것에 대한 경고성 발언인 것 같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