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기업 고용전망 '먹구름'

4분기 고용전망지수 99…2004년 4분기이후 최저

기업들의 고용 상황이 급속도로 악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대한상공회의소가 6일 전국 1,485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2006년 4ㆍ4분기 고용전망지수(EPI, 기준치=100)’를 조사한 결과 EPI는 지난 3ㆍ4분기 104에서 기준치인 100에 밑도는 99로 떨어졌다. 이러한 조사 결과는 4ㆍ4분기 신규채용 등으로 고용창출이 3ㆍ4분기보다 줄어들 것이라는 의미이다. EPI는 2ㆍ4분기 108을 기록한 후 3ㆍ4분기 104, 4ㆍ4분기 99로 하락추세를 보이고 있다. EPI는 기업 고용전망을 조사, 수치화한 것으로 기준치인 100을 넘으면 이번 분기 고용이 전분기보다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더 많음을 의미하지만 100 미만이면 반대 의미로 해석된다. 상의의 한 관계자는 “2004년 4ㆍ4분기 조사 이래 고용전망지수가 기준치(100)를 넘어서지 못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경기 악화가 기업들의 고용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는 것으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고용전망치뿐 아니라 고용실적치도 2ㆍ4분기 99, 3ㆍ4분기 96으로 2분기 연속 기준치를 밑돌았다. 4ㆍ4분기 업종별 고용전망에서는 비금속 광물, 컴퓨터ㆍ사무기기, 음식료, 가구ㆍ기타업종의 고용전망치가 크게 낮아진 반면 정유ㆍ조선ㆍ철강 등은 고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그동안 절름발이 경기를 이끌던 수출기업의 고용전망(93)이 내수기업(101)보다 나쁠 것으로 조사돼 환율의 영향으로 수출기업 채산성 악화가 현실화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됐다. 한편 기업들은 4ㆍ4분기에 주목해야 할 노동 관련 이슈로 노사관계 로드맵(23.1%), 비정규직 보호(11.9%), 파업 등 노사분규(11.7%), 4인 이하 사업장으로의 근로기준법 적용 확대(10.3%) 등을 꼽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