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상장사 이자지급능력 좋아졌다

영업이익 1,000원중 이자비용 130원으로 하락<br>525개사 상반기 조사결과 114곳은 돈벌어 이자 못갚아

올들어 저금리와 영업이익 증가로 상장기업들의 이자지급 능력이 크게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전체 상장기업 5곳 가운데 1곳은 여전히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갚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상장회사협의회는 올 상반기 12월 결산 525개 상장사(결산기 변경사 및 금융사 제외)의 이자보상배율이 7.67배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4.09배보다 개선됐다고 19일 밝혔다. 이는 상장사들이 영업이익 1,000원 가운데 이자비용으로 지출한 금액이 지난해 상반기 244원에서 130원으로 떨어졌다는 뜻이다.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이자비용)은 기업의 채무상환 능력을 나타내며 ‘1’ 이상이면 영업이익으로 이자를 갚을 수 있다는 것을, 미만이면 반대를 나타낸다. 이는 상반기 영업이익이 31조226억원으로 57.01% 늘어났고 저금리 여파로 이자비용은 4조452억원으로 16.34% 줄어든 데 따른 것이다. 하지만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기업은 영업손실을 낸 73개를 포함해 114개에 달했다. 지난해 상반기보다는 16개가 줄었으나 전체 상장사의 21.7%가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갚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협의회의 한 관계자는 “상반기 영업이익이 크게 늘어난 반면 저금리 기조로 이자비용이 줄어 이자지급 능력이 크게 향상됐다”며 “불확실한 경기 탓에 기업들이 시설투자를 위한 자금조달을 꺼리는 것도 한 원인”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