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변화 등 환경 리스크가 확대됨에 따라 탄소펀드 등 ‘환경 금융’ 상품이 새로운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
18일 금융계에 따르면 미국 등 선진국 금융회사들이 경쟁적으로 환경을 접목한 금융 상품이나 서비스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이 같은 ‘환경 금융’ 사업이 속속 출현하는 추세다.
국민은행은 최근 산업자원부와 함께 3,300억원 규모의 신ㆍ재생 에너지 사모펀드를 설립한 후 태양광 발전 설비 사업에 투자할 계획이다.
신한은행의 경우 지난해 4월부터 사회책임경영대출을 시작하면서 친환경 기업에 대해서는 우대금리를 적용 중이다. 신한은행은 최근에는 태양광 발전 사업자에게 시설자금을 저리로 대출해주기로 업무협약을 맺기도 했다.
국내 금융회사의 환경 금융 사업은 선진국과 비교하면 아직 걸음마 단계나 다름없다. 도이체방크ㆍ모건스탠리ㆍ골드만삭스 등 세계적 투자은행들은 탄소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있고 영국의 코오퍼레이티브뱅크, 네덜란드의 트리오도스뱅크처럼 환경ㆍ사회 문제에 특화한 금융기관도 등장하고 있다.
특히 국제적으로도 금융에 환경리스크를 반영하는 움직임이 강화되는 추세다. 오는 2009년 도입 예정인 ‘바젤Ⅱ’에서는 담보물건의 가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환경리스크를 점검해야 한다. 금융 분야에서도 환경리스크 관리에 대한 요구 수준이 높아지는 셈이다.
신한은행 FSB연구소의 장미화 연구원은 “환경 금융은 ‘공공성’과 ‘수익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사업 분야인 동시에 21세기 금융업을 관통할 메가트렌드가 될 것”이라며 “국내 금융기관들도 환경경영 체제를 도입하고 인재를 육성해 환경금융을 테마로 한 상품ㆍ서비스를 개발하는 데 주력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