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주행시간 26%가 공회전 연료낭비·환경오염 심화

자동차10년타기시민聯 조사

수도권 도심에서 운행하는 차량 주행시간의 26%가 공회전에 쓰여 연료 낭비와 환경을 오염시키는 가스 배출이 심해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환경부는 '자동차10년타기시민연합'이 올해 5~9월 수도권 도심도로 24개 구간(1구간 평균 30㎞)의 공회전 실태를 조사한 결과 구간당 평균 주행에 걸린 1시간24분 중 평균 22분(26%)이 공회전 시간이었다고 8일 밝혔다. 주행 때 공회전은 평균 30회였고 회당 공회전 시간은 평균 46초로 나타났다. 승용차에 공회전 제한장치를 달고 운행했을 때의 평균연비는 9.50㎞/리터로 이 장치의 부착 전 평균연비 8.29km/리터보다 14.6% 향상된 것으로 조사됐다. 공회전 제한장치를 사용하면 운행 중인 자동차가 신호대기 등으로 주ㆍ정차할 때 엔진이 자동으로 꺼지고 출발 때는 다시 켜져 불필요한 공회전으로 발생하는 연료 소비와 배출가스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환경부의 한 관계자는 "배출가스를 줄이는 공회전 제한장치 등 친환경 운전을 할 수 있는 장비에 보조금을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