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탄저병 발병여부 단시간에 진단

윤문영 한양대 화학과 교수팀<br>고분자 사슬 이용<br>1만분의 1까지 균 검출

기존보다 적은 양의 탄저균을 검출해 초기에 탄저병 발병 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한양대는 윤문영 화학과 교수팀이 탄저균을 단시간에 정확히 진단할 수 있는 검출법 개발에 성공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탄저병을 야기하는 원인균인 '바실러스 안스라시스(Bacillus anthracis)'의 독소 단백질을 분석할 수 있는 검출법이다. 과거 탄저균 검사는 보통 세균배양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최종 결과를 확인하는 데까지 상당한 시간이 필요했지만 이번 검출법은 윤 교수팀이 자체 개발한 작은 단백질 조각을 연결한 고분자 사슬(Polyvalent directed peptide polymerㆍ다중 인식 펩타이드 고분자)을 이용해 기존 방법에 비해 탄저균이 1만분의1 수준으로 적어도 단시간에 발병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이번에 개발된 작은 단백질 조각인 펩타이드는 과거 탄저균 검사에서 사용되던 항체보다 온도와 시간, 물리적 충격 등에 변형되지 않고 오랜 기간 사용할 수 있다. 윤 교수는 "이 기술은 탄저균뿐만 아니라 암ㆍ치매 등 다양한 질병에 적용할 수 있는 신기술로 앞으로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며 "우리나라의 바이오나노융합연구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원천기술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