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조선업계 친환경 선박에 사활] 대우조선해양

고압 천연가스 방식 엔진 개발에 승부수

대우조선해양 임직원이 덴마크 만디젤사를 방문해 선박용 추진 시스템을 둘러보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최근 만디젤사와 고압 천연가스를 주원료로 하는 선박용 추진 시스템 개발에 나섰다.

대우조선해양은 고압천연가스 방식의 엔진과 연료전지 개발에 승부수를 띄웠다. 대우조선해양은 최근 덴마크 만디젤사와 함께 고압 천연가스를 주연료로 하는 선박용 추진 시스템 개발에 착수했다. 공동 개발을 통해 만디젤사가 개발한 가스분사식(ME-GI) 엔진에 주연료인 고압 천연가스를 공급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올해 말까지 시제품을 만들고 테스트를 마친다는 게 대우조선해양의 복안이다. 이번에 개발하는 시스템은 청정 고압 가스를 선박용 주엔진의 연료로 사용하고 여기서 발생하는 추진력으로 직접 프로펠러를 돌리는 방식이다. 특히 같은 출력의 디젤엔진에 비해 배출 가스도 크게 줄어든다. 이산화탄소는 23%, 질소산화물(NOx)은 13%, 그리고 황산화물(SOx)은 최대 92%까지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기술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점은 LNG선에 설치할 경우 자연 증발되는 LNG를 이용할 수 있는데다 유조선이나 컨테이너선의 경우 별도의 가스 저장설비를 갖출 경우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회사의 한 관계자는 "이번에 개발될 선박 추진시스템을 1만4,000TEU급 컨테이너운반선에 적용할 경우 연간 약 1,200만달러 이상의 연료절감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연료 전지 개발에도 적극적이다. 지난해 12월 포스코파워와 함께 선박용 연료전지 개발을 공동 추진하기 위해 양해각서를 체결한 뒤 내년부터 본격적인 연료전지 개발에 나서게 된다. 공동 개발 예정인 선박용 연료전지는 3㎿ 이하로 LNG선 등에 보조 동력으로 탑재돼 출항이나 도착 ∙ 선박 내 사용 전력으로 쓰이게 된다. 연료전지는 국제해상기구(IMO)의 환경 규제치를 충족시킬 수 있는 대안으로 배출규제대상인 황산화물ㆍ질소산화물의 배출이 전혀 없고 이산화탄소 저감효과도 뛰어나다. 또 디젤엔진 대비 발전 효율이 5% 이상 높아 운항기간을 20년으로 가정할 경우 약 6,000만달러의 연료비가 절감된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특히 대우조선해양은 앞으로 포스코파워와 함께 모든 선박에 탑재가 가능한 10㎿급 이상의 주동력용 연료전지 시스템도 개발한다는 내부 방침을 세워놓은 상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