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Smad3’ 단백질 없으면 위암발생ㆍ악화 가능성 커

위암은 `Scad3`라는 단백질이 없을 경우 나타나거나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아주대병원 한상욱(외과) 교수는 정상인(8명)과 위암환자(8명)의 위점막 조직검사를 실시한 결과 정상 위점막에서는 Smad3이 관찰됐지만 위암 환자는 3명(37.5%)에서 Smad3이 관찰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는 Smad3의 존재여부가 위암발생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 교수의 연구결과는 2004년 Oncogene에 소개됐다. 한 교수는 Smad3의 기능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누드 마우스의 피하에 Smad3이 없는 암세포와 Smad3을 회복시킨 암세포를 접종해 10주간 관찰한 결과 Smad3이 없는 세포에서 자란 종양의 부피는 평균 6㎤이며 혈관생성이 많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에 비해 Smad3을 회복시킨 세포에서 자란 종양의 부피는 평균 0.74㎤ 정도로 혈관형성이 거의 없었다. 따라서 Smad3는 위암 초기에 암이 자라지 못하게 할 뿐만 아니라 없어지면 암이 왕성하게 자라고 쉽게 전이 될 수 있다. Smad3는 세포 성장과 분화를 조절하는 성장인자(TGF-eta) 신호전달체계의 중요한 매개 물질. 매개물질로는 Smad2, 3, 4가 있으며 이중 Smad2, 4 돌연변이가 위암발생과 관련이 있다. TGF-eta는 암초기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며 TGF-eta가 돌연변이를 일으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면 암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박상영기자 sane@sed.co.kr>

관련기사



박상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