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위기 극복, 기업이 주역이다] 롯데제과

VRICs 공장 등 철저한 현지화 나서

롯데제과는 중국, 베트남 등 신흥시장에 공장을 세우고 아시아 최대 제과업체로 부상을 추진하고 있다. /사진제공=롯데제과


롯데제과는 2010년 대표적인 성장국가들인 VRICs(베트남, 러시아, 인도, 중국) 지역을 중심으로 현지공장 설립 프로젝트를 완성했다. 여기에 파키스탄의 대표 제과회사까지 인수해 글로벌 기업으로써 위상을 갖췄다.

롯데제과는 공격적인 투자를 통해 해외시장에서 연간 30% 전후의 괄목할만한 성장을 기록했다. 롯데제과는 이 여세를 몰아 2018년 해외시장에서 4조5,000억원의 매출을 달성해 아시아 시장에서 최고 제과기업으로 우뚝 선다는 계획이다.


롯데제과는 세계 시장을 대상으로 꾸준히 투자해 왔다. 1970년대부터 시작된 해외 수출은 현재 60여개국으로 늘었다. 1990년대 들어 중국을 필두로 펼쳐진 현지공장 설립과 인수 노력은 6개국ㆍ10여개에 달할 정도로 결실을 거뒀다.

관련기사



특히 최초 공장설립이 이루어진 중국에는 현재까지 베이징, 상하이, 칭다오 등 대도시에 껌, 초콜릿, 비스킷, 파이 공장 등 전방위적 진출에 나서고 있다.

현지기업 인수를 통한 현지화 노력도 빛을 발하고 있다. 2000년대 들어 인도(첸나이주) 페리스, 베트남(호치민시) 비비카를 인수했다. 2년전 파키스탄(카라치시) 콜손을 인수하는등 해외 유수 기업을 인수를 통해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롯데제과는 현지인 입맛에 맞추는 철저한 현지화에 힘써왔다. 종교적인 문제로 육류를 피하는 현지인들에게 초코파이 속 마시멜로우는 금기라는 것을 감안해 과감하게 생산방식을 변경했다. 마시멜로우는 전분과 젤라틴, 설탕 등으로 만들어진다. 롯데제과는 돼지기름이 포함된 젤라틴을 식물성기름으로 대체해 생산하고 있다.

2010년 베트남, 인도, 러시아에 첨단 초코파이 공장을 설립하여 유라시아 초코파이 벨트를 구축했다. 이와 함께 2007년엔 세계적인 초콜릿 생산, 판매 기업인 벨기에의 길리안까지 품에 안으면서, 글로벌 제과업체로서 위상을 높여 나가고 있다.

롯데제과는 해외 생산 시스템을 정비하고 적극적인 해외 마케팅 전략을 펼치고 있다. 특히 메가브랜드인 초코파이, 빼빼로, 자일리톨껌, 가나초콜릿 등의 광고와 판촉을 강화해 시장을 선점하고, 역량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한편 자원관리시스템(ERP)의 대대적 개편을 실시해 본격적인 글로벌 제과업체의 기반을 다져 나가고 있다.


최인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