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8대 수출품 기술 격차 中과 평균 3.9년 그쳐"

전경련, 경제전문가 설문

우리나라 8대 주력 수출품목의 대중국 기술격차가 평균 3.9년에 불과하다는 조사가 나왔다. 20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민간ㆍ국책연구소 경제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지난해 8대 수출품목인 선박ㆍ반도체ㆍ무선통신기기ㆍ화학ㆍ기계류ㆍ자동차ㆍLCDㆍ철강의 대중국 기술격차가 3.9년으로 조사됐다. 중국과의 기술격차가 가장 작은 산업은 철강ㆍ화학(3.3년), 무선통신기기ㆍ선박(3.6년), 기계류(3.7년), LCD(3.8년), 자동차(4.7년), 반도체(4.8년) 순이었다. 이로써 이들 품목의 지속적인 연구개발(R&D) 투자확대를 통한 기술개발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경제전문가들은 8대 수출품목의 글로벌 경쟁력이 10점 만점에 현재 8.8점 수준이지만 5년 뒤에는 8.2점까지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이 중 자동차(7.5→7.8점)와 기계류(7.1→7.3점)를 제외한 6개 업종의 글로벌 경쟁력이 점차 약화될 것이라고 전망됐다. 특히 선박의 경우 현재 9.7점에서 5년 뒤 8.7점으로 큰 폭의 하락세를 예고했다. 이는 중국 조선산업이 정부 지원으로 급속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반면 자동차는 자체적인 경쟁력 향상 노력과 주요 수출시장인 미국에서의 한국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 개선 등으로 경쟁력이 다소 높아질 것으로 예측됐다. 한국 주력 수출품목의 기회요인에 대해서는 전문가 가운데 40.9%가 기술과 품질 우위라고 답했으며 22.4%가 세계경기 회복과 신흥국 성장에 따른 세계시장 확대, 21.8%가 선진국 대비 우수한 가격경쟁력을 꼽았다. 위협요인으로는 신흥국 및 외국 경쟁사의 추격(37.8%), 환율하락(28.0%), 세계적 공급과잉(15.1%) 등이 선정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