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안기부 前직원 "휴대전화 도청은 상식"

안기부 특수도청팀 폭로한 김기삼씨 증언

안기부 前직원 "휴대전화 도청은 상식" 안기부 특수도청팀 폭로한 김기삼씨 증언 관련기사 • 안기부도청 'X파일' 조건부로 방송 허용 • 정치권 "X파일 불똥튈까" 초긴장 김영삼 대통령 시절인 1993~1998년 국가안전기획부가 극비리에 가동한 특수도청팀 `미림'은 휴대전화까지 도청할 수 있는 기술이 확보됐기 때문에 해체된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그동안 도청이 불가능하다고 알려져온 휴대전화 도청 가능성을 놓고 다시 논란이 불거질 것으로 보인다. 최근 언론에 `미림'팀의 존재를 폭로한 전직 안기부 직원 김기삼씨는 22일 MBC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 프로그램에 나와 "이 업무 자체가 워낙 민감하고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어 아마 국민의 정부에서는 그 것을 하지 않기로 결정한 모양"이라며" 또 하나 그 당시에 이미 휴대전화를 도청할 수 있는 수준이 됐기 때문에 굳이 탁자밑에 도청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지 않았나, 이런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휴대전화를 도청했느냐는 확인 질문에 "당연하다"고 밝히고 "휴대전화가 도청된다는 것은 상식"이라고 말했다. 김씨는 특히 "제가 A 대공정책실장 아래서 1994~95년도에 근무할 시절에는 휴대전화가 그렇게 보편화된 시기가 아니었기 때문에 그 때는 주로 유선전화만 도청했다"면서 "그 이후에 휴대전화를 도청하기 위해 굉장히 막대한 예산을 들였다라는 얘기를 친한 기조실 친구로부터 들은 적이 있다"고 밝혔다. 그는 "1998년 내지 1999년에 그런 얘기를 들었다"고 말했다. 김기삼씨는 "인천지부장으로 계시던 A실장이 1994년초에 대공정책실장으로 부임해오면서 그때 이전까지 문민정부 출범 이후 한 1년간 활동이 거의 없었던 미림팀을 재조직했다"고 밝히고 "B라는 분이 팀장이 돼서 팀원을 한 2~3년 꾸려서 미림팀을 구성했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미림팀이 매일 저녁 한 군데를 정해서 도청작업을 나갔으며 시끄러운 소리가 잘 안들리는 밥집을 많이 이용했다"고 소개했다. 김씨는 특히 미림팀의 도청내용이 "당시 안기부장에게는 보고되지 않고 대공정책실장인 A실장에게만 보고됐다"면서 "미림자료는 워낙 민감하고 폭발력 있는 자료라서 A실장이 직접 관리했다. 내부보고서까지 보좌관인 제가 관리하고 파지했는 데 미림보고서 만은 A실장이 직접 관리했다"고 말했다. 그는 `안기부장도 모르는 상황에서 대공정책실장이 곧바로 청와대에 보고를 했다는 것이냐'는 질문에 "당시에는 그런 구조였다"면서 "당시 안기부장은 몰랐다고 들었다"고 확인했다. 김 씨는 "B 미림팀장이 1998년 강제퇴직으로 퇴사하고 난 이후에 그 분이 작업했던 테이프를 모두 밖으로 가져나갔는 데 그 이후 모 국정원장 시절 강제로 압수됐다고 들었다"면서 "미림팀장은 C감찰실장을 통해 국정원에 반납 내지는 전달했다고 그렇게 얘기한다고 들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 밖에 미림팀의 도청 분량이 테이프 8천개에 달한다는 언론 보도와 관련,"그 숫자까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면서도 "아마 조금 과장된 것이 아닌가 라는 느낌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다른 안기부 직원이 이른바 이 X-파일 테이프를 확보해 삼성과 거래를하려고 했지만 삼성측이 거래를 거부하고 안기부쪽에 신고했다는 일부 언론 보도와관련, "사실은 잘 알지 못하다"고 전제하면서도 "충분히 가능은 하다"고 말했다. 김기삼씨는 1993년~2000년 안기부와 그 후신인 국정원에서 근무했고 현재 미국에 거주하고 있다고 `손석희의 시선집중'은 소개했다. 김씨는 1994년 2월에서 1995년 2월까지 1년동안 A실장 보좌관을 지냈다. (서울=연합뉴스) 지일우 기자 입력시간 : 2005/07/22 13:01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