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교착상태 빠진 LG카드협상 앞날은…

이견 크지만 대타협 가능성도…29일 이사회가 경영정상화·청산 갈림길

‘막판 대타협이냐’ ‘청산이냐’ LG카드 추가증자를 둘러싼 채권단과 LG그룹의 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져들면서 LG카드의 경영정상화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현재로서는 양측의 입장차이가 커도 막판에 타협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지만 협상일정이 촉박한 것을 감안하면 최악의 수순이 전개될 수도 있다. LG그룹이 ‘LG카드 출자전환 참여불가’ 입장을 바꿔 “2,200억원 범위 내에서 수용할 수 있다”는 입장을 채권단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져 외견상으로는 한걸음 진전됐지만 채권단으로서는 이 역시 받아들이기 힘든 제안이다. 채권단은 5,000억원 이하의 출자전환은 증자에 참여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채권단ㆍLG그룹, 이견 너무 커=채권단이 청산 준비작업을 벌이고 있는 것은 LG그룹이 내세운 출자전환 규모 2,200억원이 채권단의 요구액과는 차이가 너무 나기 때문이다. 여기에 LG그룹이 협상에 미온적인 태도로 일관하고 있는 것도 출자전환 의지가 없는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채권단의 한 고위관계자는 “LG그룹이 출자전환에 참여할 뜻이 있다면 이런 식으로 시간만 끌어서는 안된다”며 “채권단이 받아들이기 힘든 답변을 보낸 것도 단순히 명분을 쌓기 위한 전략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채권단에 대한 LG그룹의 불만은 이와 상반된다. LG그룹의 한 고위관계자는 “처음부터 LG그룹을 배제한 채권단의 결정은 채권금융기관만의 결정일 뿐”이라며 “채권단이 먼저 LG그룹이 받아들일 수 없는 요구를 해왔다”고 반박했다. 이 관계자는 “출자전환 금액에 대한 배분이 공정하게 이뤄지지 않아 이를 거부한 것일 뿐 청산이라는 최악의 수순을 밟자는 것은 결코 아니다”고 말했다. ◇금융계, “6,000억~7,000억원이 절충점”=채권단의 권한을 위임받은 산업은행측은 “5,000억원+α 이하는 절대 받아들일 수 없고 청산뿐”이라고 거듭 강조하고 있다. 산업은행의 한 관계자는 “채권단은 LG그룹이 5,000억원 규모의 CP를 후순위채로 전환하는 대신 출자전환하고 대주주가 일정 부분 출자전환에 참여하는 것을 전제로 추가증자를 결의했다”며 “채권단만 추가증자를 실시하는 일은 절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문제는 LG그룹이 이 같은 출자전환 금액을 받아들일 것이냐의 여부. 지금까지 진통이 거듭되고 있는 것도 LG그룹측이 이 금액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표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LG그룹은 청산으로 갈 경우 1조1,750억원의 채권 가운데 2,619억원만 회수할 수 있어 청산으로 갈 경우 회수율은 22.3%에 불과하다. 이는 채권단이 청산시 50.1%인 4조3,615억원을 회수하는 것에 비하면 매우 작은 것으로 상대적으로 큰 피해를 입게 된다. LG카드가 청산되면 LG그룹측이 입는 피해가 더 크다는 얘기다. 업계에서는 이와 관련, 채권단은 LG그룹에 대해 7,700억원을 출자전환하도록 수정 요구했지만 이보다 더 조정돼 CP 5,000억원을 출자전환하고 여기에 무담보채권 보유비율 등을 합산한 6,750억원 정도에서 타결을 지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채권단, 최악의 수순에 대비해 청산준비=LG그룹이 출자전환을 하지 않기로 하고 28일 CP를 회수하려고 할 경우 LG카드는 곧바로 청산과정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 경우 채권단은 LG카드에 대한 채권회수를 모두 정지하는 등 본격적인 청산작업에 착수할 것으로 보인다. 채권단 관계자는 “내년 1월10일까지는 LG카드가 유동성에 큰 어려움이 없지만 다른 채권자들과의 형평성을 고려해 모든 채권의 회수를 중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협상시한으로 알려진 LG카드 이사회가 오는 29일로 예정돼 있지만 LG카드의 향방은 여전히 안개 속에 있다”며 “이번주 중으로 LG그룹과 채권단이 합의를 이끌어내느냐의 여부에 따라 경영정상화냐, 청산이냐가 결정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