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평형대 중소형 아파트로 전세 수요가 집중되면서 중소형 아파트 전세값이 40~50평형대 중대형과 맞먹는 현상이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평당 가격으로 따지면 중소형 전세값이 중대형을 웃도는 역전현상을 보이는 곳도 적지않다.
20일 일선 중개업소들에 따르면 용인 수지읍 신봉지구 일대 50~51평형 아파트 전셋값이 지난해 말 2억원에서 이달 들어 1억6,000만원으로 하락했다. 반면 이 일대 32평형 아파트 전셋값은 강세를 보이며 50평형대 수준인 1억5,000만~1억6,000만원선이나 물건이 거의 없다. 용인 동백지구도 동일하이빌 32평형이 1억3,000만~1억5,000만원인데 비해 이 아파트 43평형은 1억5,000만~1억6,000만원, 4월 입주가 시작될 롯데캐슬 43평형은 1억5,000만~1억6,000만원으로 30평형대와 엇비슷하다.
이에 따라 서울을 제외한 수도권의 경우 평당가로 환산한 전셋값이 매매가와 다르게 소형이 대형보다 비싼 ‘역전현상’이 여러 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 조사에 따르면 용인시의 경우 36~40평형이 평당 391만원으로 가장 비싼 반면 41~45평 형 371만원, 46~50평형 336만원, 51~55평형 323만원 등으로 평수가 클 수록 가격이 낮다.
경기도 화성시 역시 36~40평형대가 평당 328만원으로 가장 비싼데 비해 51~55평형은 269만원에 불과했다. 김포시는 31~35평형이 평당 306만원, 파주시는 36~40평형이 평당 250만원으로 최고가를 기록했으나 두 지역 모두 55평형 초과는 각각 평당 209만원, 평당 160만원으로 전 평형을 통틀어 가장 낮았다.
부동산114 김규정 차장은 “경기도는 서울에 비해 큰 평수 전세수요가 적기도 하지만 올해 쌍춘년 결혼수요, 학군 수요가 사라지면서 전세난이 수도권 전역으로 확산되지 않은 것도 한 원인인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