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이공계 대학입시 수학ㆍ과학시험만으로 선발

대통령 직속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오는 2008년부터 이공계 대학 입학전형을 수학능력시험 대신 대학별 수학과 과학시험으로 대체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자문회의는 30일 서울 양재동 교육문화회관에서 `우수 이공계 인력확보방안 공청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이공계 대학입시제도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자문회의는 이날 공청회에서 이공계 대학들이 과학기술 분야에서 우수한 적성과 자질을 갖춘 학생을 선발하기 위해 오는 2008년부터 수능 대신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수학ㆍ과학시험으로 신입생을 선발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수학ㆍ과학시험에는 논술과 심층면접ㆍ실기전형을 포함시키되 시험방법은 대학 자율에 맡기기로 했다. 자문회의는 또 장기적으로는 현재 내신과 수능 중심으로 이뤄지는 학생선발에서 벗어나 고교에서의 수학ㆍ과학 교육과정 이수기록을 입시전형의 기본자료로 활용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키로 했다. 이 방안이 시행되면 이공계에 진학하려는 수험생들은 수능시험을 보지 않고 수학과 과학시험만을 치르게 돼 입시준비에 대한 부담을 크게 덜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같은 방안은 현행 공교육에서 지향하고 있는 인성교육과 배치되고 수학ㆍ과학분야의 또 다른 사교육비 부담 등 교육과정이 왜곡될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도 제기돼 시행되기까지 상당한 논란이 예상된다. 한편 과학기술부는 정부의 연구개발(R&D)예산 편성권을 기획예산처에서 과기부로 이관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오명 과학기술부 장관은 이날 청와대에서 노무현 대통령에게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올해 업무계획을 보고했다. 업무계획에 따르면 과기부를 과학기술 관련부처의 업무수행을 지원ㆍ조정ㆍ종합하는 체제로 개편하고 연간 5조8,000억원대에 달하는 과학기술관련 예산의 실질적 심의ㆍ조정권을 부여토록 했다. 오 장관은 “배석한 김병일 기획예산처 장관 등으로부터 이해를 얻었다”며 “올해는 과기예산 총액에 대해 적정성 여부만 제시, 편성토록 하고 예산회계법을 정비해 2005년부터 과기부가 맡는 것을 희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오현환기자 hhoh@sed.co.kr>

관련기사



오현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