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응급처방 필요한 자본시장] <5·끝> 김형태 자본시장연구원장 인터뷰

ELS 같은 중위험·중수익 상품 다양화

'금리+α' 원하는 투자자금 끌어들여야

증권사 외환업무 포괄적 허용 해외시장 적극 진출 유도를

자본금 10조이상 IB 육성 필요



"투자자들이 주식시장에서 원하는 것은 시중금리보다 높은 수익입니다. 주가연계증권(ELS) 같은 중위험·중수익 상품이 다양하게 나올 수 있도록 업계의 틀을 바꿔야 합니다."

김형태(53·사진) 자본시장연구원장은 침체의 늪에서 허우적대는 국내 자본시장이 살길을 투자자에게서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투자자의 자금이 유입되면 자본시장이 활력을 찾을 수 있는 만큼 투자자의 자금을 끌어들일 수 있는 길을 연구해야 한다"며 "대한민국의 투자자가 목말라하는 '금리+알파(α)'를 제공하는 게 해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개인투자자들은 벌써부터 국내 주식시장을 떠나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개인투자자의 하루 평균 주문 건수는 140만7,489건으로 전체 주문 건수의 54.30%였다. 건수와 비율 모두 연중 최저 수준이다.

지난해 1월과 비교하면 주문 건수는 8.64%포인트, 비율은 4.36%포인트 줄었다.

김 원장은 "자본시장이 성숙해질수록 개인투자자 비중은 감소하는 게 세계적인 추세"라며 "직접 투자보다는 은행보다 높은 수익을 제공하는 간접투자를 더 활성화시켜야 한다"고 해법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서는 증권업계와 자산운용업계가 해외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해야 한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주식시장이 실물경제와 함께 움직이는 특성상 저성장 기조인 한국에서 만족스러운 투자 수익을 얻기는 쉽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김 원장은 "한국 국내총생산(GDP)이 전 세계의 1.6% 정도 되고 시가총액이 2%가량"이라며 "한국에만 투자하는 것은 나머지 98%를 못 보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업계가 투자 전략의 틀을 더 넓혀야 한다"고 말했다.


증권사들이 현재는 주로 국내 주식·채권으로 투자 상품을 설계하는데 각 증권사가 하나의 금융 허브 역할을 하면서 해외 주식과 채권을 다양하게 담은 상품을 설계해 자본이 주식시장으로 굴러들어오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른바 나노형 금융 허브 전략이다.

관련기사



해외 투자를 활성화하는 방법은 증권사의 외환업무 규제를 풀어주는 것이다. 그는 "증권사들이 환헤지 거래를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외환업무를 포괄적으로 허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자기자본금 10조원 이상의 대형 투자은행(IB)을 육성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김 원장은 "오는 2020년까지 아시아 금융시장이 상당 부분 통합될 것인데 최소한 자본금이 10조원은 돼야 밀리지 않고 활동할 수 있다"며 "자본시장 여건상 5년 내 10조원 규모 국내 IB가 나오기 어려워 정부가 나서서 정책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현재 중국의 가장 큰 은행인 중신은행의 자본금이 15조원, 일본 노무라 증권의 자본금이 34조원에 달한다. 일본의 다이와와 닛코증권도 각각 7조~8조원 수준이다.

증권사 영업용순자본비율(NCR) 규제 완화의 필요성도 역설했다. 김 원장은 "우리나라 증권사 NCR는 평균적으로 500~600% 이상인데 200% 수준인 노무라 증권 수준으로 낮춰도 증권사 전체 자본의 절반 이상을 활용할 수 있다"며 "증권사들이 위험을 감수하면서 투자해 수익을 낼 수 있도록 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증권사의 고유 영역으로 여겨지던 리서치 조직을 자산운용업계가 만들어야 한다는 견해도 밝혔다.

김 원장은 "리서치는 그동안 증권사 영역이었지만 자산운용업도 리서치에 근거해야 하는 시대가 왔다"며 "최근 수익을 잘 낸 운용사들은 다 리서치를 보유한 곳"이라고 말했다.

사진=이호재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