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때만난 벌처펀드

때만난 벌처펀드 시중부동자금 새투자처 부상 투자시장의 전반적 침체로 마땅한 활로를 찾지 못하고 있는 시중 부동(浮動)자금에게 '벌처펀드'가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벌처펀드는 동물의 시체를 먹고 사는 대머리독수리((Vulture)라는 어원에서 보듯 소수 모험투자자들이 부실기업 자산을 싼 값에 사들여 경영을 호전 시킨 뒤 고가에 되팔아 차익을 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투자자금. 12일 산업자원부와 업계 등에 따르면 지난해 5월부터 제도화한 국내 벌처펀드 규모는 올 7월말까지 1년여 동안 181개 부실기업에 6,842억원 규모를 투입하는데 그쳤으나 이후 2개월만인 지난 10월말까지의 투자규모는 쌍용중공업을 비롯한 538개사 1조2,634억원으로 급증, 단숨에 2배 가까이 늘어났다. 또 '벌처펀드' 운영 주체인 구조조정전문회사(CRC) 수도 올 초 22개사였던 것이 10월말엔 52개사로 급증했다. 지난해 출범한 CRC인 코아기업구조조정전문(CFAG)의 이규태(李圭泰)사장은 "최근 정부가 중소기업 창업(진흥기금 일부를 '벌처펀드'에 투입키로 함에 따라 업계에서 연말까지 6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추가 조성할 계획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 같은 급성장은 투자처가 아쉬운 시장의 이해와 함께 정책적 입장이 맞아 떨어진 데 따른 것. 김용근(金容根) 산자부 산업정책과장은 "정부는 시장기능을 활용한 기업 구조조정을 촉진하기 위해 다각적인 CRC 지원책을 모색했다"며 "벌처펀드 개인 출자금에 대한 소득공제(30%) 및 주식양도 차익과 배당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보장한 것 등이 효과를 보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실제로 선발 CRC인 KTB네트워크가 183억원을 투자한 ㈜세진은 지난 8월 말 화의채무 전액을 갚고 정상화하는 등 성공사례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벌처펀드는 높은 투자 위험도, 투자 기간의 장기화 가능성, CRC의 신뢰성 문제 등을 안고있어 아직 일반투자자가 참여하기에는 부담스러운 상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 '자본투입-기업회생'이라는 원래의 취지가 또 하나의 '머니게임'으로 전락하지 않도록 정부당국의 철저한 감독이 병행돼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입력시간 2000/11/14 13:59 ◀ 이전화면

관련기사



장인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