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마산 서항지구 매립사업 난항

마산항 광역개발계획에 따라 마산시와 중앙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서항지구 매립사업이 시민단체 반대에 부딪쳐 난항이 예상된다. 이에 따라 마산항 개발사업이 일정대로 추진될지 주목된다. 마산지방해양수산청은 “서항지구 개발사업은 지난해 해양수산부와 마산시가 월포동 해면 42만5,000평을 매립하기로 한 협약에 의한 것”이라며 “이는 마산항 광역개발계획에 의해 마산시가 시행하도록 되어 있다”고 25일 밝혔다. 해양청은 “마산항은 지난 99년부터 지난해까지 매년 수출입 외항과 내항 물량을 합쳐 1,100만톤 안팎에 이르는 등 5년째 물동량이 제자리 걸음상태”라며 “이는 마산항 부두의 인프라가 낙후돼 제 기능을 못하고 있는 단면을 보여주는 것으로 마산항 개발 등 항만시설의 확충이 시급한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에 대해 도시연대 등 시민 단체들은 “중국의 대대적인 항만개발로 정부가 항만의 과잉 공급을 우려해 부산ㆍ진해 신항과 광양항 개발 계획을 축소하겠다고 발표했는데도 해양청과 마산시는 항만 개발을 계속 추진해 정부 방침에 배치되는 행정을 펴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이들은 또 “지속적인 물동량 정체는 열악한 항만시설보다는 오히려 거대한 부산항과 광양항 사이에 있는 마산항의 위치 때문“이라며 “마산항 개발사업의 경우 지난 99년 정부 투자기관인 한국해양연구소의 타당성 조사결과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결론났다”고 주장했다. 마산시 관계자는 “마산항 개발은 부산항으로 유출되는 마산자유무역지역과 창원공단, 인근구미ㆍ현풍ㆍ상평공단의 물량까지 유치해 지역 경제를 되살리는 기폭제가 될 것”이라면서 “경제성이 없다는 타당성 조사는 99년 민자유치사업법이 민간투자사업법으로 바뀌기 전의 것”이라고 밝혔다. <마산=황상욱기자 sook@sed.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