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KB금융 부자보고서 발간

금융자산 10억 이상 부자는 16만여명…1인당 평균 22억원 보유

금융자산 10억원이 넘는 한국의 백만장자는 16만7,000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이 보유한 금융자산은 1인당 평균 22억1,000만원, 총액은 369조원으로 가계 총 금융자산의 14%를 차지했다.

부자 가구의 연소득 평균은 3억1,000만원, 월 평균 소비지출은 1,022만원, 자녀교육비로 한달에 평균 329만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B금융연구소는 10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14 한국부자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부자수 증가율은 2012년보다 2.5% 늘어나는데 그쳤다. 이는 2008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며, 2012년 증가율(14.8%)에 비해 크게 둔화한 것이다.


연구소는 “낮은 예금금리, 부동산 시장 침체, 박스권에 갇힌 주식시장, 내수경기 부진 등이 지속되며 보유자산의 투자성과가 과거에 비해 낮아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한국의 금융부자를 지역별로 보면 서울이 7만9,000명(47.3%)으로 가장 많고 경기가 3만2,000명(19.3%), 부산이 1만3,000명(7.6%)이다.

부자수 증가율은 울산(9.5%)이 가장 높았고 서울과 부산(각 1.0%)은 평균(2.5%)에 못미쳤다.

서울의 부자는 강남·서초·송파 등 이른바 강남 3구에 37.5%가 몰려있다. 양천(4.5%), 영등포(3.4%), 용산(3.2%) 등이 뒤를 이었다.

이들 부자의 자산 축적 방법은 사업체 운영(32.5%), 부동산 투자(25.8%), 부모의 증여 및 상속(25%) 등으로 조사됐다. 연령이 높을 수록 부동산 투자를 통한 자산 증식이 활발했고 40대 이하 자산가는 사업체 운영을 통한 자산형성이 두드러졌다. 부자들의 자산은 부동산(54.1%), 금융자산(39.6%), 예술품·회원권 등 기타(6.3%)로 구성됐다. 부동산 자산 비중은 작년(55.4%)보다 줄고 금융자산(작년 38%)은 늘어 포트폴리오의 변화가 감지됐다.

연구소가 지난 4월부터 두달간 전국의 자산가 6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65%는 최소 100억원 이상의 자산을 가져야 부자라고 생각했다. 300억원 이상이라고 말한 응답자도 16.3%에 달했다.

이들 중 78%는 자신이 부자가 아니라고 답했다. 향후 목표자산으로는 50억~100억원(40.3%), 100억~300억원(31.8%)을 많이 꼽았다.

부자들은 향후 수익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투자대상으로 부동산(28%)을 지목했다. 국내 주식(14.3%), 국내펀드(13.3%), 저축성보험(11.3%) 등이 뒤를 이었다. 향후 자산관리의 최대 관심사로는 23.3%가 부동산정보를, 은퇴준비 수단으로는 부동산(50.3%)을 가장 많이 꼽았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