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혼미한 국제금융시장, 오리무중 차기 한은 총재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여파로 글로벌 금융시장이 연일 요동치고 있다. 일부 신흥국에서는 외환위기 조짐마저 감지된다. 우리 금융시장도 홍역을 치르긴 마찬가지다. 4일 코스피는 외국인 자금 이탈로 1,900선이 무너지고 원·달러 환율도 1,090원대 진입을 바라보게 됐다. 환율상승(원화약세)이 수출에는 긍정적이나 요즘 들어 하루 변동폭이 지나치게 크다는 게 문제다.

관련기사



사실 미국의 출구전략은 아직 본격화하지도 않았다. 달러를 찍어내 시중에 공급하는 경기부양의 강도만 낮췄을 뿐이다. 머지않은 시기에 도래할 기준금리 인상과 3조달러에 이르는 유동성 흡수로 인한 충격파는 현재로서는 가늠하기조차 어렵다. 그런데도 일부 취약국가에서 금융위기 가능성이 고조되는 상황이니 우리 경제의 기초체력이 아무리 튼튼하다고 해도 출구전략의 위력을 결코 과소평가해서는 안 될 것이다. 이럴 때일수록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금융위원회로 대표되는 거시경제 당국 간 3각 공조체계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그런 측면에서 3월 말 임기가 만료되는 김중수 한은 총재의 후임 인선이 지체되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적지 않다. 차기 총재부터는 국회 인사청문회를 거쳐야 하는 상황을 감안하면 더더욱 그렇다. 그런데도 추측만 무성할 뿐 유력 후보군조차 오리무중이다. 백악관이 1월 말 물러난 벤 버냉키 연준 의장의 후임자를 지난해 10월9일 지명한 것과 극명한 대조를 보인다. 공론화를 거치는 과정에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염두에 둔 유력 후보가 자진 사퇴한 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따지고 보면 새 정부 출범 즈음 장관 후보자들이 대거 낙마한 뼈아픈 경험도 공론화 과정을 생략한 깜깜이 인사 탓이 크다. 새 한은 총재 임기의 태반은 선진국 출구전략 가동시기와 맞물린다. 어쩌면 적응기간을 가질 여유조차 없을지 모른다. 막중한 임무가 부여된 자리인데도 청문회가 요식절차에 불과하거나 정쟁으로 치닫는다면 불행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시간이 빠듯하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