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25일 새 정부의 수장인 박근혜 대통령의 취임식이 열렸다. 새 대통령이 취임식에서 가장 강조한 것은 글로벌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자본주의의 새 모델을 찾겠다는 것이다. 새 대통령은 '경제부흥'을 가장 우선으로 내세웠는데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각국 정부에게 내려진 숙제이기도 하다.
새로운 정부가 어떤 정책을 펼칠지는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변수 중 하나다. 정책 변화에 따라 움직이는 자산시장에 맞춰 자산배분 전략과 투자 상품을 리밸런싱해야 하기 때문이다.
새정부 출범 이후 자산시장은 금융위기 이후 대두된 저금리 상황과 세수 확보를 위한 세법 강화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한국 경제는 과거보다 더 글로벌 경기에 민감해져 있어 신정부가 펼칠 수 있는 운신의 폭은 크지 않다. 또 새정부의 경제통들이 기본적으로 규제보다 시장의 자율성을 중시하는 성향이라 시장에 부담을 주는 정책은 나오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경제정책의 큰 방향은 글로벌 경기 회복이 확실해지기 전까지 글로벌 양적완화 흐름에 맞춰 저금리와 경기 부양 정책을 이어갈 것이다.
새정부 경제 정책 중 주목할 부분은 경제 민주화 정책이다. 대기업 지배구조 개선, 맞춤별 복지, 가계부채 부담 경감 등 구체적인 정책들이 나오고 있다. 정책의 성공 여부보다는 이 같은 정책 수행을 위해서는 막대한 비용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미 올해 초에 정부는 세수 확보를 위해 세법을 개정을 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에 따라 새정부에서도 세법은 더 강화될 가능성이 높다. 앞으로 절세 상품 또는 혜택이 점차 사라지거나 약화될 것이다.
이런 투자환경 변화로 새정부 출범 이후 자산배분은 절세와 중위험 중수익 자산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정책 기조 상 절세 상품 축소가 예상되므로 현재 있는 절세상품에 선제적인 투자가 필요하고 저금리시대에 자산 가치 방어를 위해서는 중위험 중수익 자산 투자가 중요하다.
우선 투자중인 포트폴리오에서 과세대상인 상품은 절세형 상품으로의 전환을 고려해 봐야 한다. 절세되는 상품이 줄긴 했지만 아직 고수익인 주식부터 안전자산인 저축보험까지 절세되는 상품은 다양하게 나와있다. 과세 대상 상품을 각각 동일한 위험의 절세 상품으로 전환해야 한다. 예를 들면 과세되는 은행 정기예금에 투자중이었다면 비과세되는 저축보험이나 물가연동국채로, 주가연계증권(ELS)에 투자중이었다면 비과세되는 브라질 국채나 분리과세되는 터키국채로 투자상품을 변경해야 한다.
종합자산관리계좌(CMA)나 머니마켓펀드(MMF)같은 단기 자금운용의 경우에는 세금우대 저축(1,000만원 한도), 생계형 저축(3,000만원 한도)을 활용하여 과세표준금액을 최소화해야 한다.
자산배분관련해서는 중위험 중수익 상품쪽으로 투자자산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안전자산과 위험자산, 고위험 고수익과 저위험 저수익의 자산만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경우가 많다. 투자 목적과 개별 상황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포트폴리오의 균형을 위해서는 중위험중수익 자산의 확대가 필요하다. 또 금리가 낮아지면서 안전자산으로는 물가상승률을 이기지 못하는 시대가 되었다. 일부는 중위험 중수익 자산을 편입하여 최소한 자산 가치 방어가 가능한 투자를 해야 한다.
중위험 중수익 투자 상품으로 대표적인 상품은 주가연계증권(ELS)와 파생결합증권(DLS), 해외채권이다. ELSㆍDLS는 기초 자산이 일정 수준까지 하락해도 수익이 지급되므로 최근처럼 불확실한 시장환경에 적합한 상품이다. 하지만 이 상품들은 과세대상이기 때문에 금융소득종합과세 기준금액 한도 내에서 투자를 해야 한다. 해외채권도 기본적으로 과세되지만 절세 혜택이 일부 상품은 절세혜택이 있다. 한국과 브라질 조세협약에 따라 비과세되는 브라질 국채(물가채)와 10년 이상 채권으로 분리과세 신청이 가능한 터키국채이다. 두 채권 모두 우리나라보다 높은 금리를 제시하고 있어 포트폴리오 균형과 수익률을 고려해 일부분을 투자할 필요가 있다. 단, 이 상품들은 환율에 노출된 구조로 투자되기 때문에 환율 움직임에 따라 수익률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투자 시점의 환율을 반드시 점검한 후 투자를 결정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