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김대중­김종필 총재 일문일답/“위법 안했어도 금융파멸 책임”

◎정부·여당 정면돌파 어디로 가겠다는 건지/야당 협박의도 반성 없을땐 국민 분노할것국민회의 김대중 총재와 자민련 김종필 총재는 27일 『12·26 불법 날치기 사건에 이어 정부수립 이후 최대의 한보 금융비리 사건에 직면한 우리나라는 극도의 국민적 불안속에 루란의 비상시국에 처했다』고 주장했다. 양당 총재는 이날 국회 귀빈식당에서 최근 노동계 파업 및 한보부도사태와 관련한 「국민 여러분께 드리는 말씀」을 통해 이같이 밝히고 한보부도사태 규명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임시국회 소집과 국정조사권 발동을 요구키로 했다고 말했다. 다음은 양 김총재와의 일문일답. ­김대중 총재는 여권의 최고위층이 한보사태와 관련됐다고 주장했는데 근거가 있는 얘기인가. ▲(김대중 총재) 정보와 첩보가 있다. 그러나 그 문제가 중요한 게 아니고 국가운용의 상식이 중요하다. 내가 청주(연청 충북도지부 창립대회)에서 말한 것도 그것이다. 수서사건 등에서 의혹의 대상이었던 불건전한 경제인에게 5조원을 대출한 것이다. 그것도 한도를 넘은데다 담보부족이었다. 대출목적 이외에 다른 곳으로 전용된 것도 묵인했고 은행감독원의 주의에도 불구하고 은행들이 대출했다. 최고위층의 지시없이는 불가능한 일이다. 금융비리를 추궁해온 대통령이 몰랐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 그렇다면 대통령의 통치능력에 무언가 문제가 있는 것이다. 그렇지만 나는 대통령을 그렇게(통치능력이 없는 것으로) 보지 않는다. (청와대) 비서들이 지시해 돈이 나갔는데 몰랐다고는 볼 수 없다. 이런 것을 책임지지 않고 대통령이 무얼 책임지겠는가. 정부 여당 관계자들이 관련됐다면 수사를 받되 대통령도 필요하다면 조사를 받아야 한다. 미국도 대통령이 국회나 검사앞에서 증언을 하거나 조사를 받는다. ­대통령이 책임을 져야 한다는 말은 구체적으로 무얼 뜻하는가. ▲대통령이 설령 법률적으로 위법행위를 안했더라도 금융을 파멸시킨 책임이 있다. 대통령 밑에서 그랬다면 행정적 정치적 책임이 있는 것은 분명한 것이다. 국민이 흥분하고 있는데 정부 여당이 중앙(정면) 돌파하겠다면 어디를 돌파하겠다는 얘기인가. 국민을 상대로 싸움을 하겠다는 건가. 야당만 분노하는 게 아니다. 야당을 협박하려는 의도지만 반성을 않는다면 국민의 분노와 질책을 받을 것이다. 야당은 협박에 좌우되지 않는다. ­오늘 회견은 누가 먼저 제의했는가. 임시국회 소집 시기는. ▲(김종필 총재) 김대중 총재와 합의하에 한 것으로 이해해 달라. 임시국회 소집은 될 수 있는대로 빨리하려 한다. 오늘 양당 8인공동위에서 논의되면 거기에 따라 총무들이 진행할 것이다. ­그렇다면 장외투쟁 등은 어떻게 되는 것인가. ▲(김대중 총재) 지금 상황이 변화됐다. 8인위가 앞으로 일을 검토할 것이다. ­안기부법과 노동관계법은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종전과 마찬가지다. 국회가 열려도 날치기 만큼은 시정하도록 하겠다. 재심의를 해야 한다는 우리의 주장에는 변함이 없다.<양정록>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