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운영 방향을 제시하는 국정연설ㆍ시정연설 등을 총리가 대독(代讀)하지 않고 대통령이 직접 국회에 참석해 발언함으로써 청와대와 국회의 ‘칸막이’를 제거하고 직접적인 소통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27일 청와대의 한 고위관계자는 “박 대통령이 국회와의 스킨십을 강화하기 위해 연두교서 및 국정연설ㆍ시정연설ㆍ특별연설 등을 할 경우 국무총리를 대신 참석시키지 않고 직접 국회 본회의장에서 연설을 하는 방안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박 대통령은 정부조직법 개정안이 난항을 겪을 당시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 지도부를 청와대에서 만나 의견을 교환했었다”며 “앞으로 국회에서도 이 같은 모습을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의 또 다른 관계자는 “박 대통령은 주요 국정현안이나 의제가 발생할 경우 여야 지도부가 참석하는 ‘국가지도자연석회의’를 열겠다고 약속했었다”면서 “국가지도자연석회의와 국회 연설은 박 대통령이 여의도 정치와 거리를 좁히는 소통 창구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독 총리’ 관행을 없애고 직접 국회에 참석해 국정운영 방향과 현안을 설명하며 이해관계가 대립되는 이슈에 대해서는 이해를 구하겠다는 것이다.
박 대통령은 국민들의 이해와 동의를 구해야 하는 공약으로 합리적 세부담을 결정하기 위한 국민대타협, 노사관계 안정을 위한 사회적 대타협 등을 제안했는데 국회에 참석해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논의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예상된다.
박 대통령이 이처럼 여의도 정치와 ‘거리 좁히기’에 나서는 것은 국정운영을 놓고 국회와 갈등을 빚은 역대 대통령과 차별화를 시도하겠다는 의지를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이명박 전 대통령은 재임 기간 중 국회에서 일절 국정연설을 하지 않았고 총리가 대신 연설문을 읽었다. 18대(2008년)와 19대(2012년) 국회 개원식에서 치사만 했을 뿐이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17대(2004년) 국회 개원식에서 치사를 했고 국정ㆍ시정연설을 한 경우는 세 차례에 불과했다.
이ㆍ노 전 대통령이 국회에서 연설을 하거나 치사를 할 때 상당수 야당 의원들은 대통령이 국회 본회의장에 입퇴장할 때 의석에 그대로 앉아 있거나 연설 도중 잡담을 하는 결례를 연출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청와대와 국회가 적대적이거나 상극의 모습을 보여준다면 정치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만 깊어질 것”이라며 “박 대통령은 이전 구태와 관행을 깨고 여의도 정치와 가까워지려는 노력을 국민들에게 보여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