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김장철 허리통증 이렇게 줄여요

무거운 재료 여러번 나눠 옮기고

15~30분마다 허리·무릎 스트레칭

바닥에 앉아 일할 땐 등받이 의자에


주부 김지숙(62·가명)씨는 김장철만 지나고 나면 앓아눕는다. 며느리 도움을 받아 김장을 하지만 50포기가 넘는 김장을 하고 나면 이곳저곳 몸이 쑤시고 파김치게 되기 마련이다. 소금에 절인 무거운 배추를 들어서 옮기는 것은 젊은 며느리나 힘이 좋은 남자들의 몫이지만 장시간 쭈그리고 앉아 양념을 배추에 버무리다 보니 허리통증이 극심해진다.

김장시에는 한자리에 오래 앉아있거나 무거운 절임배추가 담긴 대야를 들고 나르는 일이 많다 보니 주부들의 무릎이나 허리에 부담이 갈 수밖에 없다.

김장 후 주부들은 요통을 많이 느끼게 된다. 배추와 무를 씻고 자르고 버무리다 보면 허리가 쑤시고 또 오랜 시간 쪼그려 앉아 김장을 하면 통증도 심해지기 마련이다. 요통은 대부분의 경우 휴식을 취하는 것만으로도 어느 정도는 회복이 가능하지만 나이가 많은 주부나 맞벌이 주부의 경우 충분한 휴식을 취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허리통증이 만성화될 수밖에 없다. 심하면 척추분리증이나 척추관협착증·허리디스크로 발전할 가능성도 높다.


허리통증을 유발하는 가장 대표적인 질환은 바로 요추염좌다. 요추염좌는 요추(허리뼈) 부위의 뼈와 뼈를 이어주는 섬유조직인 인대가 손상돼 통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요추염좌는 인대만 손상됐다기보다는 인대의 손상과 함께 근육의 비정상적 수축이 동시에 허리통증을 일으킨다.

관련기사



최봉춘 세연통증클리닉 원장은 "요추염좌는 보통 1개월 정도 올바른 치료를 받고 나면 환자의 90% 정도가 회복되지만 통증이 사라질 때까지 꾸준한 관리와 치료가 가장 필요하다"며 "허리나 무릎에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무거운 김장 재료는 나눠서 여러 번 옮기고 15~30분 간격으로 허리와 무릎을 펴주는 지속적인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이 좋다"고 당부했다.

김장으로 인한 요통 발생을 예방하려면 김장을 하기 전 미리 충분한 스트레칭을 통해 뭉친 근육을 풀어줘야 한다. 또 적어도 1시간에 한 번씩은 일어나 5분 동안 허리를 뒤로 젖히고 목을 돌리는 등의 간단한 체조만으로도 피로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배추가 담긴 대야 등 무거운 짐은 두 사람이 함께 나눠 들어야 허리에 무리가 가지 않는다.

바닥에 앉아서 일할 때는 가급적 등받이가 있는 의자를 이용하거나 되도록 등을 벽에 붙여 바로 펴고 앉은 뒤 허리가 굽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양념통 등을 몸에 바짝 당겨서 허리가 최대한 덜 구부러지게 하는 것도 한 방법. 김장 재료들을 운반하거나 냉장고에 넣을 때 의식적으로 허리를 펴는 것도 중요하다.

특히 50대 이후 주부들은 찬 기운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두꺼운 외투보다는 얇은 옷을 여러 겹 입으면 찬바람이 허리에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실외에서 김장을 담그는 경우라면 모자·목도리 등을 착용하는 것도 좋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