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FA로 저효율생산구조 타파를/김균섭 통산부 기초공업국장(기고)

우리나라 제조업은 지난 80년대 후반 이후 임금과 땅값 등 생산요소비용의 지속적인 상승과 물류비 급증, 재무구조 취약 및 고금리로 인한 높은 금융비용 등 고비용구조에 시달리고 있다.기업은 수요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과학적인 생산관리시스템의 미비와 고금리 구조아래 원재료 및 재고의 과다보유, 성숙산업에 대한 중복과잉투자로 인한 수익성저하 등 비효율적인 생산구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 제조업의 생산효율을 일본과 비교해 보면 매출액 중 원재료비는 95년 46%로 일본의 40%에 비해 약 15% 높고 재고비용도 3.8%로 일본의 1.5%보다 2.5배 이상 높은 편이다. 또한 노후된 생산설비의 비중이 높고 설비투자 가운데 생산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공장자동화 등 합리화 투자비중이 5.3%에 불과하여 일본의 19.3%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이다. 이같이 불리한 경영여건과 생산구조의 비효율성으로 인해 설비투자효율이 일본에 비해 크게 낮으며 종업원 1인당 생산규모도 7만5천달러로 일본의 20만5천달러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한 실정이다. 하버드대학의 포터 교수는 『기업이 국제적인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업활동 전반에 끊임없는 혁신과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그는 특히 일본산업의 우월한 경쟁력의 원천이 기술개발과 생산활동의 혁신을 통해 고부가가치 창출에 주력한 결과라고 설명하고 있다. 우리나라 제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정부는 고비용구조를 해소하는데 주력하고 있으며 이러한 차원에서 임금, 금리, 공장용지가격 등 3대 생산요소비용을 안정시키기 위해 「경쟁력 10% 이상 높이기 운동」을 전개하는 한편 기업들의 투자의욕을 고취하는 등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의 노력이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기업 스스로 기술, 생산, 마케팅 등 모든 기능을 통합한 전략적인 생산경영체제를 구축해 나가야 할 것이다. 선진국 기업들은 최첨단 정보화기술을 이용한 광속상거래망(CALS)을 도입하고 컴퓨터통합생산시스템(CIM) 등 자동화 생산구조로 대체하는 리스트럭처링 및 리엔지니어링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는 공장자동화 확산을 위해 중소기업의 자동화 및 정보화 등 구조개선사업에 지난해 1조5천억원을 지원한데 이어 올해는 2조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정부는 95년부터 공장자동화 기기·설비중에서 국내생산이 불가능해 불가피하게 도입되는 품목에 한해서는 연차별로 관세를 감면해주고 있으며 지난해 4백4개 품목에 30%의 관세를 감면하고 올해는 4백12개 품목에 대해 20%의 관세를 감면해 줄 예정이다. 정부는 자동화 등 합리화 투자에 대해서는 5%의 세액공제를 실시하고 있다. 아울러 오는 2001년까지 공장자동화의 최종목표인 지적생산시스템개발을 위한 선도기술 개발사업을 추진중에 있으며 첨단 선진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국제공동연구 프로그램에 참여를 추진하는 등 기술개발을 활성화하고 있다.

관련기사



김균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