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불안한 여윳돈, 은행으로 몰려…수시입출식 상품 ‘인기’

올해 국내銀 수신 43조↑

저금리 기조에 소비자들의 여윳돈이 은행의 수시입출식 예금 등 초단기 금융상품에 몰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보다 이자를 후하게 쳐주던 저축은행·상호금융조합의 금리 매력이 떨어진 데다 돈을 오래 묶어놔도 수익률은 기대에 한참 못 미치기 때문이다.


24일 한국은행과 시중은행 등에 따르면 지난달 말 국내 은행 수신은 1,179조원으로 올해 들어 43조2,000억원 늘었다. 지난해 1년치 증가액 37조원보다 많다.

증가 배경을 뜯어보면 수시입출예금이 19조6,000억원 늘어난 게 눈에 띈다. 반대로 정기 예·적금은 4조5,000억원 줄었다.

수시입출예금의 증가와 정기예·적금 감소는 사상 최저 수준인 저금리에서 비롯했다.

은행 정기예금 금리는 10월 기준으로 평균 2.59%까지 내려 정기예금에 몇 개월에서 길게는 몇 년간 돈을 묶어둘 유인이 사라졌다.

은행 예금에 견줘 ‘고위험·고금리’ 대안 투자처로 꼽히던 상호금융(신협, 농협 단위조합 등)이나 저축은행도 만족스럽지 못하기는 마찬가지다.

상호금융 정기예탁금 금리는 10월 평균 2.72%, 저축은행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는 평균 2.89%로 은행 정기예금 금리와 격차가 0.1∼0.3%포인트로 좁혀졌다.

과거에는 은행보다 1%포인트 안팎으로 높던 이들 제2금융권의 금리가 더는 고객들의 발걸음을 붙잡지 못하게 된 셈이다.


저축은행의 수신 잔액은 지난 10월 말 45조5,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11조7,000억원(25.7%) 줄었다.

관련기사



한은 관계자는 “구조조정으로 저축은행이 줄어들고 영업환경이 나빠진 탓도 있다”고 설명했다.

상호금융 수신 잔액은 비과세 혜택에 힘입어 같은 기간 249조7,000억원으로 8조7,000억원(3.6%) 늘었지만, 증가폭은 지난해 같은 기간(8.7%)의 절반 이하다.

일단 은행으로 몰려든 여윳돈도 저금리 세태를 반영하고 있어 인기 상품과 비인기 상품의 명암이 확연하다.

3∼6개월 단위로 적용 금리가 바뀌는 회전식 예금은 금리 상승기에는 인기가 많지만 요즘은 찬밥 신세다.

KB·우리·신한·하나 등 4대 시중은행의 회전식 예금은 지난해 11월 말 43조9,000억원에서 올해 11월 말 25조7,000억원으로 18조2,000억원(41.5%) 급감했다.

이에 비해 단기간에 비교적 높은 금리를 적용받으면서 입출금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예금에는 고객들의 눈길이 쏠린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고객들이 금리 상승을 예상하면서도 현재 금리에는 만족하지 못해 단기 상품을 많이 찾는다”고 전했다.

300만원 이하에 연 0.01%, 300만원 초과에 2.4% 금리를 주는 스탠다드차타드(SC) 은행 ‘마이심플 통장’은 올해 2월 출시 이후 실적이 2조5,000억원을 넘었다.

정기예금이면서도 실제로는 만기 전에 아무때나 높은 금리로 돈을 찾을 수 있는 상품도 인기를 끈다.

중도해지에도 연 2%대 금리가 적용되는 국민은행 ‘업(UP) 정기예금’은 지난해 11월 3조1,000억원이던 잔액이 1년 만에 7조8,000억원으로 2배가 됐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