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감원이 불황타개 만능책 아니다"

FT 보도… 경기 반등때 적절한 대응 어려워<br>유급휴가등 다른 대안 강구하는 기업도 많아

상당수 기업들이 불황을 타개하기 위해 감원카드를 빼 들고 있지만, 인원감축 대신 다른 대안을 강구하는 기업도 적지 않다고 2일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FT에 따르면 아일랜드 금융 기관인 아이리시 라이프 앤드 퍼머넌트는 직원들에게 3년간 휴가를 주고, 1인당 최대 4만4,200달러를 지급했다. 직원들은 돌아가면서 휴가를 가게 된다. 프랑스의 크레디리요네증권(CLSA)는 직원 연봉을 15~20%줄이기로 했고, 자동차 메이커인 르노와 푸조의 노동자들도 호황기 시절보다 적게 일하고 덜 받고 있다. 캐나다 광산업체인 인데버실버도 직원 연봉을 10%줄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유급 휴가, 감봉, 일감나누기 등은 모두 비용 절감을 위한 대책이다. 직원에게 충격이 큰 해고보다는 '적게 일하고 덜 받는' 방안을 수용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감원이 지나칠 경우 경기 회복이 더디고, 경기가 반등할 때 적절한 대응이 어려워진다는 점도 감원을 꺼리는 이유다. 컨설팅 업체인 PWC의 미첼 렌델 사장은 "현명한 기업들은 경기가 회복될 경우까지 감안, 감원 규모를 최소화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독일의 전자부품업계 관계자는 "과거 경기 침체기 때 연구 인력을 대거 해고하자, 얼마 지나지 않아 공대 졸업생이 급감하는 등 예기치 못한 문제가 많이 발생했다"며 "이런 과오를 다시 범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감원을 남발해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일각에서는 감원보다 신중하고 혁신적인 이런 방안의 효용성에 대해 의문을 표하고 있다. 영국 건설업체 JCB의 경우 지난 10월 직원 200명을 감원하지 않기 위해 근무시간과 연봉을 모두 줄였지만, 11월 중순 경영난을 이기지 못하고 결국 398명의 직원을 해고했다. 자칫하다간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는 사태가 빚어질 수 있다는 경고인 셈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