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전기차·스마트 그리드 등 녹색동력 육성"

■ 李대통령 UAE 원전 기공식 참석<br>'자이드 국제환경상' 수상식서 역설<br>"4대강 살리기로 수자원 확보 주력"

이명박 대통령과 모하메드(오른쪽) 아랍에미리트(UAE) 왕세자가 14일 UAE 아부다비 서쪽 해안 브라카에서 열린 한국형 원자력발전소 기공식에서 참석, 기념동판을 제막한 뒤 안내를 받아 자리를 옮기고 있다. /브라카=왕태석기자

아랍에미리트(UAE) 방문 사흘째를 맞은 14일(현지시간) 이명박 대통령은 브라카에서 열린 한국형 원자력발전소 기공식에 참석하고 두바이로 이동해 동포간담회와 모하메드 빈 라시드 알막툼 연방총리 겸 두바이 통치자와 면담을 가진 뒤 '자이드 국제환경상' 수상식에 참석하는 등 숨가쁜 일정을 소화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두바이 트레이드센터에서 진행된 '자이드 국제환경상' 수상식 수상연설을 통해 "환경보호와 경제성장을 조화하는 녹색성장 패러다임을 실천하기 위해 대한민국은 녹색성장기본법을 만들고 매년 국내총생산(GDP)의 2% 이상을 녹색 분야에 투자하고 있다"며 '녹색성장의 꿈'을 역설했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은 "청정에너지를 육성하고 전기차와 스마트 그리드와 같은 녹색동력을 키워나가고 있다"고 소개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4대강 살리기를 통해 깨끗하고 풍부한 수자원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고 강조하면서 "아울러 탄소는 공짜가 아니라는 인식을 확고히 다지기 위해 배출권거래제 등 관련 제도의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이 대통령은 "한국의 녹색성장은 기후변화의 위기를 기회로 반전시키기 위한 역발상에 기초하고 있다"면서 "같은 맥락에서 저는 UAE가 추진 중인 역발상의 노력을 매우 인상 깊게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꿈을 믿는 나라다. 전쟁으로 폐허가 된 조국을 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인 국가로 만든 원동력은 '오늘보다 내일이 나을 수 있다'는 꿈을 믿고 열심히 일해온 우리 국민들이었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이 이날 수상한 '자이드 국제환경상'은 환경 분야의 노벨상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글로벌 녹색성장의 선도자로서 공로를 인정받아 제5회 수상자로 선정됐다. 김상협 청와대 녹색성장환경비서관은 "이 대통령의 녹색성장 정책은 그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주요20개국(G20), 유엔환경계획(UNEP) 등 국제 논의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왔다"며 "이번 자이드상 수상을 통해 우리의 녹색성장 정책이 다시 한 번 국제사회에서 인정받게 됐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자이드 국제환경상'의 상금 50만달러를 환경 등 공익부문에 사용할 것으로 알려졌다. 김 비서관은 "이 대통령은 상금의 사용과 관련 환경 분야에 기여하는 부분에 쓰도록 하는 등 다양한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고 전했다. '자이드 환경상'은 사막 국가인 아랍에미리트연합(UAE)의 녹화사업을 추진한 셰이크 자이드 빈 술탄 알나흐얀 전 대통령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지난 2001년 셰이크 모하메드 빈 라시드 알막툼 UAE 총리 겸 두바이 통치자 주도로 창설됐으며 격년제로 시상한다. 최고상인 글로벌 리더십 분야의 역대 수상자로는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과 코피 아난 전 유엔(UN) 사무총장, 그로 할렘 브루틀란트 전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 영국 BBC 방송 등이 있다. 이 대통령은 이에 앞서 두바이 지역 동포간담회를 통해 최근 몇 년간 우리나라와 UAE 양국 관계가 심화됨에 따라서 UAE에서 전체적으로 한인 규모가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한인회를 중심으로 UAE 사회 발전에 기여해줄 것을 당부했다. 또한 알막툼 연방총리 겸 두바이 통치자와 면담하고 경제ㆍ통상 협력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이 자리에서 이 대통령은 두바이에 진출한 한국기업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다. UAE에 진출한 한국기업은 130개로 아부다비에 40여개사, 두바이에 90여개사가 활동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