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집단 지도체제 도입 '황제 경영' 차단

그룹 경영회의 신설, 밀실 경영 아예 없애 회장 권한 분산 의지


취임 100일을 맞아 한동우 신한금융지주 회장이 고심 끝에 밝힌 '그룹운영체계 개선안'은 경영권의 장기집권을 막고 회장 중심의 독단적인 의사결정도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극심한 내홍을 겪으면서 이른바 '황제 경영'이라는 말을 낳았던 당사자 입장에서, 앞장서 지배구조를 수술함으로써 새로운 경영의 모델을 선보이겠다는 의지인 셈이다. 한동우 회장은 30일 브리핑에서 "경영권을 놓고 지난해에 발생했던 신한 사태가 근본적으로는 후진적인 그룹운영체계에서 출발했다고 판단, 국내외 사례를 연구해 미래 지향적인 조직운영체계 개선안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과거 절대권위에 의존하던 그룹 운영을 보다 투명하고 체계적으로 바꾸겠다는 의미다. 겸업화와 대형화를 통해 종합금융그룹으로서의 외형은 갖췄지만 내부 운영시스템이 여전히 소규모의 지역은행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현실을 개선하자는 의지도 깔려 있다. 신한지주는 이날 내놓은 개선 방향은 크게 세가지다. 먼저 눈에 띄는 것은 '그룹 CEO 승계 시스템'으로 앞으로 임명될 최고경영자(CEO)의 나이를 만67세로 제한하는 내용이 골자다. 연임시 재임 기한은 70세다. 신한지주 관계자는 "재임 연령 하나만 제한하는 것보다 신규 선임 연령 제한을 동시에 적용하는 것이 경영권 장기화를 차단하는 효과가 더 클 것"이라고 설명했다. 라응찬 전 회장의 경우 20년 가까이 1인자 역할을 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경영권 승계가 투명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그룹 CEO의 자격 요건을 사전 명확하게 하고 이사회 산하에는 '지배구조 및 회장후보추천위원회(가칭)'를 신설할 계획이다. 추천위의 구성과 규모 등은 최종 확정하지 않았지만 CEO와 사외이사 5~7명 정도의 규모로 운영될 가능성이 높다. 신한지주는 의사결정이 집단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그룹 경영회의(Executive Committee)'도 신설한다. 여기에는 그룹 CEO, 주요 자회사 CEO, 그룹 사업 부문 및 기능별 담당 임원 등이 들어간다. 과거 회장에게 집중됐던 권한을 분산하고 비공식 채널을 통한 밀실 경영을 없애겠다는 뜻이다. 한 회장은 "그룹 경영회의는 거의 모든 선진 금융그룹들이 운영하고 있는 형태"라면서 "전문성을 최대한 활용하는 등 그룹 차원의 합리적 의사결정을 유도하는 시스템"이라고 설명했다. 신설될 그룹경영회의를 의사결정 이전에 반드시 거치도록 강제조항도 포함돼 있다. 사업 부문 단위의 경영관리체계도 도입한다. 그룹의 분산된 자원을 최적으로 활용하기 위함인데 신한은행과 신한금융투자의 기업금융 및 IB 관련 사업 부문(CIBㆍCorporate & Investment Banking), 그룹의 자산관리 관련 사업 부문부터 우선 시행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