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북한, 100명 중 2명 휴대전화 사용

매년 빠른 속도로 증가…작년에는 4.7배 증가

철저한 통제사회인 북한에도 휴대전화의 사용인구가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 북한 인구의 2%에 해당하는 43만여 명이 휴대전화를 이용하고 있는데, 이는 인구 100명 당 2명 꼴에 해당한다. 특히 평양 이외 지역에서도 휴대전화 가입자가 빠르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 내 유일한 휴대전화 사업자인 이집트 ‘오라스콤 텔레콤’이 19일 내놓은 ‘2010년 실적보고서’에 따르면 오라스콤 텔레콤이 북한의 체신성과 합작해 세운 휴대전화 업체 ‘고려링크’에 가입자는 작년 12월 현재 43만1,919명으로 2009년 12월 9만1,704명의 4.7배로 늘어났다. 매출액도 급증해 지난해는 전년동기보다 156% 늘어난 6,640만 달러에 달했다. 가입자 증가에는 상대적으로 소득이 적은 주민을 위한 특별 요금제를 내놓은 것도 한 몫 한 것으로 보인다. 오라스콤 텔레콤은 “2ㆍ4분기에 저소득층을 위한 요금제를 내놓은 결과 지난 9월에는 평양 외 지역 매출이 전체매출의 50% 가까이 차지했다”고 설명했다. 높은 요금 때문에 휴대전화 사용은 엄두도 못 내던 평양 외 지역 주민도 휴대전화를 좀 더 쉽게 접할 수 있게 된 셈이다. 실제 오라스콤 텔레콤과 합작해 만든 고려링크는 현재 평양에 18개, 평양 외 대도시에 8개의 지점을 두고 있다. 평양 외에도 원산, 함흥, 평성, 안주, 개천, 남포, 사리원, 해주 등 14개 도시와 22개 고속도로를 관장하는 333개의 이동통신 기지국이 있다. 2010년 말에는 북한지역의 무려 91%에서 휴대전화 사용이 가능해졌다는 설명이다. 엄종식 통일부차관은 최근 한 포럼에서 “북한의 이동통신 서비스가 2008년 12월 이집트 오라스콤사와 합작으로 재개된 이래 가입자 수가 작년 말 현재 45만명에 이르고 있다”며 “아직 초기단계이기는 하지만 기본적인 인프라가 구축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