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지역경제 도약의 해법을 찾아서] 안상수 인천시장

"구도심권 재생사업에 역량 집중"


민선 4기 지방자치단체 시대가 열렸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초일류 국제자유도시 웅비를 겨냥한 첫발을 내디뎠다. 자치단체장들은 저마다 지역 경쟁력을 높이고 경제현안 해결을 최우선 과제로 내걸었다. 광역자치단체장들로부터 지역경제 도약의 해법을 들어본다. <1>안상수 인천시장 “경제자유구역을 중심으로 한 신도심 발전이 어느 정도 정상 궤도에 이르렀다고 판단된 만큼 기존 구도심권 재생사업에 역량을 집중해 나갈 계획입니다.” 안상수(사진) 인천시장은 민선 4기동안 역점적으로 추진할 사업으로 ▦인천경제자유구역의 성공적 개발 ▦기존 도심의 재개발 ▦2014년 아시안게임 유치 등을 꼽았다. 안 시장은 “그동안 경제적 파급효과를 기대해 불가피하게 경제자유구역을 중심으로 한 신도심 개발에 주력해왔다“면서 “앞으로는 소외된 구도심 지역을 중심으로 한 개발을 추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시는 현재 경인고속도로의 직선화 사업을 비롯, 가정오거리 뉴타운 사업 등을 오는 2013년까지 완료한다는 구상이다. 안 시장은 이어 “수도권 규제로 경쟁력이 약화되고 일자리 감소 등 부작용과 경제적 피해가 더욱 심화되고 있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과밀억제권역과 성장관리권역으로 나눠져 있는 송도지구를 성장관리권역으로 단일화 하고 과밀억제권역인 청라지구를 성장관리관역으로 변경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안 시장은 이를 위해 장기적으로 경제자유구역의 수도권정비계획법 배제 등을 지속적으로 요구해 기본적인 이해를 얻어내고 관련규정이 개정될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경제자유구역에 대한 국비지원율을 현행 50%에서 70%로 끌어올려 지방재정 운영의 탄력성을 확보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안 시장은 2014년 아시안게임 유치 건이 이벤트성으로 끝날 공산이 크다는 지적에 대해 “100%의 확신과 자신감을 갖고 추진하고 있다”고 말하고, “현재 건설중인 인천대교와 공항철도가 준공되면 공항과 1시간 이내에 경기장이 위치하게 돼 접근성 면에서 유리해지고 여기에 IT 기술을 바탕으로 한 경기운영능력을 확보하고 있어 승산이 충분하다”며 자신감을 보였다. 안 시장은 “아시안 게임 유치시 6조3,800억원의 생산유발 효과와 2조7,400억원의 부가가치 창출효과, 17만명이 넘는 고용유발효과는 물론, 도심브랜드의 획기적인 향상 등으로 국제도시로의 도약에 엄청난 시너지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안 시장은 지방정부의 업무와 관련, “지방정부의 전체 경제업무 가운데 70% 정도가 각종 인ㆍ허가나 지도ㆍ단속 등과 관련된 행정규제 업무여서 불가피하게 기업규제로 연결된다”며 “지방정부에 위임사무가 아닌 보다 많은 자율권이 부여돼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