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동반성장위원회가 발표한 '2013년도 동반성장지수 평가 결과'에 따르면 인력분야·연구개발·운영 추진체계 등 11개 평가 항목에서 통신·정보 서비스업은 전 항목에서 1위를, 전기·전자 업종은 2·3위 성적을 기록하며 최우수 및 우수 등급을 받았다. 반면 식품·도소매·건설업은 평가 항목에서 5·6위의 성적으로 최하위 순위 등급으로 평가됐다.
동반성장지수는 공정거래위원회가 매년 대기업을 상대로 조사하는 이행실적 평가와 동반성장위원회가 협력 중소기업 상대로 실시하는 체감평가를 합산한 수치다. 2011년부터 동반성장 의지가 부족한 기업은 개선하라는 취지에서 상대평가 방식으로 순위를 매긴 뒤 4개 등급으로 나눠 평가 결과를 발표한다. 공정위의 대기업 이행실적평가는 연 1회, 동반위 중소기업 체감도조사는 연 2회 실시된다.
문제는 협력업체에 대한 동반성장 설문조사에서 발생한다. 자동차·전자 등 대기업과 협력사의 수직계열화에 따라 거래의존도가 높은 업종이 높은 점수를 받기 쉬운 구조이기 때문이다. 인력분야·연구개발·운영 추진체계 등 설문 항목은 협력사의 규모에 따라 평가 결과에 큰 차이가 난다. 통신·정보서비스 업종의 경우 10인 이상 협력 사업장이 55%인 반면 식품 협력업체는 18%에 불과해 식품기업들이 협력업체에 교육 강좌 개설이나 신제품 개발 지원이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동반성장 설문조사가 초기에 대기업 하도급 관계를 진단하고 평가하기 위해 만들어졌기 때문에 군소도시에 광역시의 잣대를 들이대고 있는 꼴"이라는 지적했다.
이에 따라 업계에서는 오는 18일 열리는 '동반성장지수 실무위원회' 모임에서 동반성장지수 평가방식을 조정,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국회와 전국경제인연합회도 동반성장지수 평가제도의 문제점을 비판하며 수정을 요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