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위기의 한국車 새 엔진 달아라] <5·끝> 미래형 車개발 국가과제

"친환경 車시장을 선점하라" <br>美·日·유럽, 稅감면 등 우대정책 내걸고<br>차세대 독자모델·양산계획 대거 쏟아내<br>"한국기술 걸음마 수준" 정부지원 절실



지난해 10월 일본 지바시 마쿠하리 전시장에서 열린 도쿄 모터쇼. 일본은 ‘미래로의 주행’이라는 주제로 열린 전시회에 최첨단 미래형 자동차들을 대거 선보여 업계 관계자들의 눈길을 확 사로잡았다. 일본은 세계 하이브리드카 시장의 90%이상을 휩쓸며 기술력에서 다른 나라보다 최대 10년이다 앞서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GM과 포드 등 미국 업체들도 하이브리드카를 새로운 돌파구로 보고 독자모델 개발에 나서는 등 반격에 나섰다. 한국의 경우 현대ㆍ기아차가 오는 2010년 30만대 양산을 목표로 경쟁에 뛰어들었지만 아직 힘이 부친다는 게 일반적인 평가다. ◇미래형 자동차 시장을 잡아라=세계 자동차 업계는 유가 급등과 환경규제 강화 등으로 ‘미래형 자동차’ 에서의 승패가 회사의 명운을 좌우할 것으로 판단하고 불꽃튀는 경쟁을 벌이고 있다. 미래형 자동차 자체가 더 이상 ‘틈새시장’이 아니라 주력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다는 얘기다. 미국 정부는 하이브리카의 시장점유율이 오는 2010년 14.5%에 이어 2030년에 50%를 넘어설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본의 도요타와 혼다, 미국의 GM, 포드, 다임러 크라이슬러 등 전세계 자동차 업체들은 최근 연이어 미래형 자동차 양산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이들은 특히 미래형 자동차 개발을 사실상 ‘국가적인 과제’로 인식하고 있는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사격을 받고 있다. 미국의 경우 소득세액 공제나 도로세 면제, 자동차 등록세 인하, 자동차 구입비용 일부 지원 등의 혜택을 주고 있으며 일본 역시 각종 세제감면은 물론 차량도입 가격의 상당규모를 보조 및 저리의 융자 등을 해주고 있다. 이탈리아는 구입 후 5년간 도로세 면제 및 보험료 할인 혜택 등을 제공한다. 이미 ‘국가간 자동차 전쟁’이 본격 시작됐다는 의미다. ◇“한국은 아직 걸음마”정책지원 절실=정부가 지난 2004년 이후 미래형 자동차 개발에 투입한 지원규모는 101억원에 머물러 있다. 일본이나 미국이 범국가적인 차원에서 뒷받침해주는 것과 비교하면 한참 뒤쳐질 수 밖에 없는 현실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차세대 자동차 분야에서 일본과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향후 5~10년간 사활을 건 싸움을 벌여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자체 기술력 못지않게 정부차원의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한국의 자동차 엔진기술은 이미 세계 톱 클래스에 올라 있다”며 “여기에 정부의 각종 지원이 결합되면 조속한 시일 내에 일본을 따라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대차는 실제로 지난 99년 아반떼, 2000년에는 베르나 하이브리드카를 잇따라 개발한데 이어 지난 2004년에는 투산의 연료전지차를 선보였으며 오는 2007년이면 연산 1만대 수준의 양산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우리 정부는 미래형 자동차 시장의 중요성을 뒤늦게나마 인식하고 지난해 ‘환경친화적 자동차 개발ㆍ보급 5개년 기본계획’을 마련, 오는 2008년까지 4,170대의 하이브리드카를 보급하겠다고 발표했다. 올해에는 총 350대를 보급하면서 정부가 대당 2,800만원 수준의 보조금을 지급한다. 정부는 아울러 해외사례 등을 참고해 하이브리드카에 대한 세제 감면이나 주차요금 할인 등의 혜택을 검토하고 있다. 조철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앞으로 하이브리드카의 양산단계에서도 일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각종 조세지원을 제공하고 가격을 보전해 주는 등 지원책이 뒤따라야 한다”며 “아울러 경쟁력 있는 미래형 자동차 개발을 위해 부품산업의 동반 성장을 이끌 수 있는 대책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