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9·19 대책] 내집마련 전략 어떻게

보금자리 주택 원하면 청약저축 가입 서둘러야<br>중소형 민간분양, 재개발·재건축은 청약부금만 가능

정부가 앞으로 향후 10년 동안 500만가구의 주택을 공급하겠다고 밝히면서 내 집을 마련하려는 실수요자들의 청약 전략 수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앞으로 10년 동안 150만가구에 달하는 보금자리 주택을 공급하는 만큼 청약저축에 대한 인기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오는 2018년까지 수도권에서 300만가구, 지방에서 200만가구를 공급할 방침이다. 500만가구에는 보금자리 주택 150만가구도 포함된다. 보금자리 주택은 ▦공공분양 70만가구 ▦공공임대 30만가구 ▦국민임대 40만가구 ▦영구임대 10만가구 등으로 구성된다. ◇월소득 300만원 이하 가구는 청약저축으로=보금자리 주택 중 분양되는 물량은 70만가구로 전용면적 60~85㎡로 구성될 예정이어서 예비 청약자들의 첫 내 집 마련 방안으로 부상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70만가구인 공공분양 아파트의 경우 소득 분위가 현재 월소득 300만원 이하인 가구에서 청약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보금자리 주택은 기존 분양가 대비 15% 저렴할 것으로 보여 신혼부부와 서민들의 러브콜이 잇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또 지분형과 전세형 보금자리 주택 역시 30만가구에 달해 청약저축을 통한 내 집 마련이 훨씬 수월해질 것으로 보인다. 결국 정부가 서민들의 주거안정을 위해 내세운 정책인 보금자리 주택으로 내 집을 마련하려는 수요자는 청약저축 가입을 서둘러야 한다는 것이다. ◇청약부금 물량도 110만가구에 달해=정부는 앞으로 10년 동안 전체 500만가구를 공급할 예정인 가운데 110만가구를 중소형 민간분양과 재개발ㆍ재건축 등으로 공급할 방침이다. 민간분양 물량인 만큼 청약부금을 통한 청약만이 가능하다. 보금자리 주택 분양 물량(지분형 제외)이 70만가구인 상황에서 민간분양 물량이 110만가구에 달해 공급규모 면에서는 청약부금이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국토해양부의 한 관계자는 “중소형 민간분양 물량이 2018년까지 40만가구이고 70만가구는 재개발과 재건축, 역세권 등을 통해 공급된다”며 “다만 주택담보대출을 통한 내 집 마련이 어려운 수요자는 지분형 보금자리 주택을 통해 집을 마련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대형 민간분양 물량은 200만가구=정부는 자력으로 주택을 구입할 수 있는 소득 수준을 월평균 392만원 이상인 가구로 잡고 있다. 이들은 기금 대출이나 지분형 주택 등의 도움 없이도 자력으로 주택을 구매할 수 있고 교체 매매도 가능한 소득군이다. 정부는 이번 대책에서 200만가구를 중대형으로 구성하고 민간에서 분양하도록 할 계획이다. 자신의 소득이 충분하고 교체 매매까지 감안하는 수요자들은 청약예금통장으로 200만가구에 달하는 중대형 민간분양 물량을 노려야 할 것으로 분석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