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내년부터 1m 이내로 파악하는 ‘고정밀위치정보’ 서비스

빠르면 내년부터 스마트폰이나 내비게이션 등의 DMB를 통해 오차 1m 이내의 고정밀위치정보시스템(DGPS)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해양수산부는 해양교통 등 특수 목적으로만 이용해온 DGPS정보를 일반 시민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DMB를 통한 DGPS 전송기술을 개발해 이르면 내년 하반기부터 서비스할 예정이라고 10일 밝혔다.


현재 사용되는 위성위치추적시스템(GPS)의 위치 오차는 30m 이내로 큰 편이다. DGPS는 GPS 위치 신호를 보정해 오차를 1m 내로 줄인 것으로 전세계 50여 개국에서 활용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해수부가 1998년 사업에 착수해 2009년부터 해양기준국 11곳, 내륙기준국 6곳의 DGPS 기준국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DGPS 수신을 위해서는 고가의 수신 장비가 필요해 현재까지 이용자는 선박 6,400여척과 공공기관, 대학, 연구소 등 790곳에 불과했다.

관련기사



해수부 관계자는 “지난 2년간 DMB전파를 통해 DGPS 정보를 실어 나르는 기술을 개발해왔다”면서 “일반인들도 내년부터 별도의 수신기 없이 스마트폰이나 차량용 내비게이션 단말기으로 DGPS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해수부는 내년 하반기께 DGPS 정보를 일반인에게 제공하기 위해 방송사들과 업무협약을 맺는 한편 스마트폰ㆍ내비게이션 단말기 제조사와 협의할 방침이다.

또 안심귀가 앱이나 구난구조 앱, 장애인 길 안내 앱 등 DGPS 정보에 기초한 앱과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해 기업체에 기술을 지원하는 방안도 추진할 계획이다.


박윤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