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 초고층 공공건물 지진 기준 강화

서울시가 초고층 공공건축물을 지을 때 설계도서에 건물 하중 조건을 비롯한 각종 내진설계 사항을 포함할 것을 의무화하는 등 기준을 강화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의 ‘내진설계 성능강화 방안’을 최근 마련해 시행할 계획이라고 25일 밝혔다. 방안에 따르면 50층 이상 초고층 공공건축물을 설계할 때 도서에 건축물의 강도, 공기저항 시험결과, 지내력(지반이 중량을 견디는 힘), 중력하중ㆍ횡하중 저항 계획, 내진설계 적정성 확인결과 등을 포함해야 한다. 또 내진설계 관련 기준을 적용했는지를 서울시 건설기술심의에서 확인하는 것을 제도화하고 내진 분야 전문가를 심의위원으로 임명해 심의를 강화하도록 했다. 서울시는 이달 중 설계용역 관리 편람을 개정하고 내년부터는 초고층 건축물의 설계심의 관련 사후평가에도 내진 분야 점검을 포함시키기로 했다. 서울시의 한 관계자는 “기존에 관련 법적 기준은 있었으나 세부적인 도서작성 기준이 없어 실제로 내진설계가 도서에 반영됐는지 확인하기 어려웠다”며 “민간건축물도 자체적으로 내진보강 필요 여부와 보강 방안 등을 확인할 수 있는 홈페이지를 구축해 내년 말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기준 서울시내 내진설계 대상 건축물 32만2,409개동 가운데 내진설계 성능이 확보된 건축물은 10.7%인 3만4,567개에 불과하다.

관련기사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