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與 공천심사委 구성부터 신경전

친이·친박 명단 인선 싸고 대립… 8일 최고위원회서 결정키로

한나라당이 오는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공천심사위원회를 구성하는 일에서부터 계파 간 신경전을 벌였다. 한나라당은 애초 지난 4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중앙당 공심위 구성을 마무리 지을 계획이었지만 친박(친박근혜)계 허태열 최고위원이 15명의 공심위원 중 친박 인사 구성에 문제를 제기해 8일 최고위원회에서 최종 결정하기로 미뤘다. 이날 정병국 사무총장이 보고한 공심위 명단은 친박 몫으로 구상찬ㆍ안홍준ㆍ주성영 의원, 친이(친이명박)계 몫으로 정병국ㆍ차명진ㆍ배은희 의원, 중립계로 남경필ㆍ김광림ㆍ조윤선 의원과 정몽준계로 분류되는 안효대 의원 등 11명의 국회의원과 원외당협위원장 1명, 안인해 고려대 교수 등 외부전문가 3명으로 구성됐다. 그러나 구 의원이 서울시당 공심위원회 활동을 이유로 고사하자 허 최고위원은 대신 이성헌 의원을 공심위에 포함해달라고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여기에 출마를 적극 검토하고 있는 안홍준 의원도 공심위 명단에서 빠질 가능성이 있어 새로운 인선이 필요하다고 친박계는 주장했다. 이에 대해 정 사무총장은 공심위 구성에서 계파를 고려하지 않겠다고 천명한 만큼 이 요구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난색을 표했다는 후문이다. 마찰이 깊어지자 친박계에서도 중앙당보다 시도당 공심위 참여에 주력하자는 의견이 나온다. 현재 당헌ㆍ당규는 실질적인 공천작업을 16개 시도당의 공심위가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구 의원이 중앙당을 마다하고 시도당 공심위에 남겠다고 밝힌 이유도 이 때문으로 해석됐다. 친박계 최고위원은"중앙당 공심위원을 어느 계파가 맡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시도당 공심위 구성이 핵심"이라고 밝혔고 친이계 최고위원도"2006년 지방선거와 달리 당헌ㆍ당규가 바뀐 이번에는 공천은 시도당이 주도하는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럼에도 일부 친박계는 여전히 강경하다. 특히 2008년 총선 당시 친이계가 주도한 공천심사위원회가 친박 인사들에게 자행한'공천 보복'의 재발 방지를 위해서라도 친박 인사들이 제대로 목소리를 낼 수 있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사무부총장을 지내 당이 돌아가는 사정을 잘 알고 적극적으로 친박계 입장을 개진해온 이성헌 의원을 공심위에 넣으려는 것도 이런 판단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