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한자능력시험 공신력 날로 추락


한자능력검정시험의 공신력이 날로 떨어지고 있다. 민간검정기관이 난립하며 평가기준이 제각각인데다 감독기관은 관련 통계조차 파악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지난해 토익시험 응시자는 208만 4686명. 같은 어학능력 시험이라는 성격을 갖고 있는 한자능력검정시험 응시자 수는 파악이 불가능하다. 막연하게 150여 만명으로 추정될 뿐이다. 현재 국가공인을 받은 한자능력검정기관은 총 11개. 하지만 기업체에서는 이중 2~3개 기관이 발급한 한자시험 급수를 선호한다. 일부 민간 검정기관들이 부여하는 등급은 아예 인정하지 않는 기업도 있다. 그 만큼 믿지 못한다는 얘기다. 이에 따라 취업을 위한 스펙 쌓기의 일환으로 한자 검정자격시험을 준비하는 대학생들은 어떤 검정기관을 택할지 혼란스러워 하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관리 및 감독 소홀. 민간자격증의 국가공인 처리를 담당하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은 지난 2007년을 마지막으로 4년째 관련 통계조차 못 내고 있다. 직업능력개발원 관계자는 “통계구축이 필요하지만 예산이 없어 추진되지 않고 있다. 현재로선 민간검정 기관들이 자발적으로 응하지 않는 한 자료를 제공할 의무는 없는 상태”라고 말했다. 2만원(2급)~3만4,000원(1급)인 응시료에 대한 환불규정도 검정기관별로 제 각각이다. C검정기관의 경우 접수마감일 이후부터는 50% 환불을 규정으로 삼고 있지만, 본인이나 직계가족의 결혼, 군입대 등 조건이 까다로워 사실상 환불 받기가 어렵다. 한자검정능력 시험 응시자들은 ‘문제의 공통 출제 뿐 아니라 응시료 환불규정 통일 등을 노력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그러나 검정기관 난립과 질이 떨어지는 검정시험의 개선은 요원한 실정이다. 김진희 대학생 인턴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