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포스코, '글로벌 톱 3' 가속화

■ 이구택 포스코 회장 연임 확정적<br>인도·베트남등 해외투자 탄력 예상<br>급변하는 시장서 성장기반 마련 높이 평가<br>박태준 명예회장이어 두번째 장수 CEO로


이구택 포스코 회장의 연임이 사실상 확정됨에 따라 ‘글로벌 톱3’를 향한 발걸음이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특히 이 회장이 해외시장 진출에 각별한 애정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그동안 추진해온 인도ㆍ베트남ㆍ멕시코 등 해외 투자사업은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03년 3월 회장으로 선임된 이 회장은 앞으로 오는 2010년까지 임기 3년을 보장받음에 따라 지난 11년간 포스코를 이끌었던 박태준 명예회장에 이어 두번째로 장수하는 최고경영자(CEO)로 등극하게 됐다. 이 회장의 연임 배경에는 무엇보다 글로벌 기업으로의 도약과 경영실적이 작용했다는 게 회사 안팎의 한결 같은 시각이다. 급변하는 경영환경, 특히 M&A에 따른 철강업계의 재편흐름 속에서 글로벌 경영전략을 강화해 지속적인 성장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이 단독 회장후보로 나서게 된 비결이라는 게 업계의 관전평이다. 실제로 포스코는 인도에서 일관제철소 건립을 추진하고 있으며 중국에서도 지난해 말 외국기업으로는 최초로 스테인리스 일관생산 설비를 갖췄다. 현지 생산ㆍ판매 전략을 위한 현지화에도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베트남과 멕시코 등에도 공격적인 투자를 단행했다. 마찬가지로 이 회장의 연임은 포스코의 글로벌 경영전략이 강한 추진력을 갖게 됐음을 뜻한다. 이 회장은 최근 세계 철강업계의 M&A 강풍에 맞서 ‘조강능력 확대를 통한 글로벌 빅3, 기술 선진화를 토대로 한 글로벌 톱3’를 중장기 목표로 제시하기도 했다. 이에 맞춰 추진하고 있는 인도의 일관제철소 프로젝트도 이 회장의 지휘 아래 본궤도를 향해 나아가게 됐으며 베트남 하공정 공장과 멕시코 자동차강판 공장, 전세계 가공센터(40개소) 설치 등 글로벌 공급전략도 탄력을 받게 됐다. 이 회장이 앞으로 풀어야 할 숙제도 만만치 않다. 잇따른 글로벌 공룡 철강사들의 탄생에 맞서 입지를 확보해야 하는데다 정체된 성장성을 해소하고 신성장동력을 찾아야 한다는 과제도 안고 있다. 한편 포스코 공채 1기로 입사한 이 회장은 생산현장과 물론 수출ㆍ경영정책ㆍ신사업 등 핵심부서와 주요 보직을 두루 거친 실무형 CEO로 통한다. 또 과거 전임 회장들이 외부에서 왔다는 점을 감안할 때 포스코도 이제 엄격한 자격심사를 거쳐 내부 전문경영인을 스스로 배출할 수 있음을 보여준 첫 사례라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