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통합공무원노조 출범 임박

인원 감축·연금개혁등 현안 잇따르자<br>통합준비위, 설립작업 조속추진 합의


13만명의 조합원을 거느린 8개 공무원노조 및 연합체가 ‘통합공무원노조’라는 단일 깃발 아래 움직이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지방자치단체 조직 슬림화 및 공무원연금 개혁을 추진하는 정부와 상당한 마찰을 빚을 것으로 예상된다. 공무원노조총연맹ㆍ전국민주공무원노조 등 8개 공무원노조는 지난 24일 오후 대전광역시청 대강당에서 ‘통합공무원노조 설립준비위원회(이하 통합준비위)’의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운영위원회 1차 회의를 열어 통합공무원노조 결정을 조속히 추진하기로 했다고 25일 밝혔다. 통합준비위는 또 ▦구조조정ㆍ강제퇴출, 공공부문 민영화 및 공무원연금 개악 저지 ▦정년평등화, 기능직제ㆍ계급제ㆍ고시제 폐지, 공무원 노동기본권 쟁취 등 공동 현안사업을 강력 추진하고, 공무원노동자 총궐기대회 및 대정부 규탄집회를 개최하기로 했다. 정봉주 통합준비위 대변인 겸 홍보담당 집행위원은 이날 서울경제와의 전화통화에서 “정부, 특히 지방자치단체 조직개편 때 하위직 공무원들은 가장 큰 영향과 불이익을 보게 된다. 이 같은 상황에서 한 목소리를 내기를 원하는 8개 공무원노조 조합원들의 뜻을 모아 늦어도 8월까지 단일 노조 또는 연맹체 형태의 통합공무원노조를 출범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 대변인은 이어 “직장협의회 등과도 연대해 (13만 조합원을 포함해) 29만여 공무원 단체 회원의 목소리를 대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지자체 조직개편, 공무원연금, 통합공무원노조의 조직형태 등 주요 의사결정은 운영위의 결정과 조합원의 투표(과반수 찬성)로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국대의원대회격인 운영위(총 239명)는 개별 노조마다 조합원 500명당 1명씩 배정되며, 운영위 결정사항은 모든 통합준비위 참여 노조 모두에 효력을 미친다. 한편 통합준비위의 양대 축인 공노총과 민공노는 통합공무원노조의 조직형태로 각각 ‘통합 공무원노총’(개별 노조ㆍ연합체의 독자성을 인정)과 ‘단일 공무원노조-지부 체제로의 개편’을 선호하고 있다. 정 대변인은 “이명박 정부가 , 공무원연금 개혁 등 공무원 관련 현안들을 쏟아냄에 따라 통합공무원노조 설립작업에 가속도가 붙을 것”.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