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박근혜 대통령 취임-분야별 국정운영 방향] 꿈·소질 개발 교육시스템 마련

■ 사회·교육·문화<br>문화의 가치로 갈등 치유… 안전한 사회 만들기 최선

박근혜 대통령은 역대 대통령과 달리 취임사에서 사회ㆍ교육ㆍ문화 분야에 적극적 관심을 보였다. 국민 한 명, 한 명의 행복을 중시하는 국정기조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박 대통령은 "희망의 새 시대를 여는 일은 교육에서 시작한다"며 "어느 나라나 가장 중요한 자산은 사람"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데 정부의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며 "문화의 가치가 사회적 갈등을 치유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를 걸었다.


박 대통령은 취임사 중반부에서 "교육을 통해 개인의 잠재된 능력을 최대한 끌어낼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고 국민 개개인의 능력을 주춧돌 삼아 국가가 발전하게 되는 새로운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그러면서 "아는 사람은 좋아하는 사람만 못하고 좋아하는 사람은 즐기는 사람만 못하다"는 말을 인용하며 "배움을 즐길 수 있고 일을 사랑할 수 있는 국민이 많아질 때 진정한 국민행복 시대를 열 수 있다"고 당부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어느 나라나 가장 중요한 자산은 사람인데 개인의 능력이 사장되는 천편일률적 경쟁에만 매달려 있으면 우리의 미래도 얼어붙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학생 개개인의 소질과 능력을 찾아내 자신만의 소중한 꿈을 이뤄가고 그것으로 평가 받는 교육 시스템을 만들겠다"며 "우리 사회를 학벌 위주에서 능력 위주로 바꿔가겠다"고 약속했다.

관련기사



헌정 사상 첫 여성 대통령인 그는 '안전한 사회'에 대한 의지를 재차 피력하면서 법치 확립을 내세웠다. 박 대통령은 "대한민국 어느 곳에서도 여성이나 장애인 또는 그 누구라도 안심하고 살아갈 수 있는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데 정부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며 "힘이 아닌 공정한 법이 실현되는 사회, 사회적 약자에게 법이 정의로운 방패가 되어주는 사회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대선부터 성폭력·학교폭력·가정파괴범·불량식품 등 '4대 악'을 척결하는 데 앞장서겠다는 의지를 밝혀 연장선에서 경찰청이 소속된 행정안전부의 이름을 '안전행정부'로 바꾼 바 있다.

박 대통령은 '문화융성'을 경제부흥∙국민행복과 함께 국정의 3대축 중 하나로 제시하면서 "21세기는 문화가 국력인 시대, 국민 개개인의 상상력이 콘텐츠가 되는 시대"라고 방점을 찍기도 했다. 특히 그는 문화융성을 신성장동력이나 일자리 창출의 수단에 그치지 않고 사회갈등을 해소할 '힐링 캠프'로 상정했다. 박 대통령은 "문화의 가치로 사회적 갈등을 치유하고 지역과 세대와 계층 간의 문화 격차를 해소하고 생활 속의 문화, 문화가 있는 복지, 문화로 더 행복한 나라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지민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