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軍 지원율 급상승, 복무기간 재조정 효과

오는 2월부터 군 복무기간이 육군 기준 18개월에서 21개월로 재조정되는 가운데 최근 육ㆍ해ㆍ공군 모집병 지원율이 급상승했다. 20일 병부청에 따르면 올해 1월 유급지원병과 기술행정병, 개별모집병, 동반입대병, 직계가족병 등 육군의 모집병(5,731명) 지원율은 4.5대1로 지난해 12월 3.4대1의 기록을 상회했다. 이는 병무청이 육군 모집병 지원율 기록을 보존한 2008년 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직전 기록은 지난해 1월 3.8대1이다. 해군의 1월 모집병(1,174명) 지원율은 3.4대1로 지난해 1월(3.8대1) 이후 최고 수준이었고, 공군도 같은 달 모집병(1,150명) 지원율이 5.4대1로 병무청이 모집 업무를 시작한 2008년 7월 이후 가장 높았다. 또 해병대의 모집병(1,011명)의 경쟁률 역시 4.5대1로 병무청이 모집업무를 개시한 2008년 7월 이후 가장 높게 나타났다. 최근 들어 각 군의 모집병 지원율이 급상승한 것은 애초 2014년 7월까지 18개월(육군 기준)로 줄어들 예정이었던 복무기간이 다음 달부터 21개월로 재조정되기 때문으로 보인다. 여기에 이는 입대가 늦어질수록 군 복무기간이 줄어들기를 기대했던 입대 예정자들이 정부의 복무기간 재조정 발표를 접하고 서둘러 군에 지원하려는 심리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병사 복무기간은 ‘국방개혁 2020’에 따라 2014년 7월까지 육군ㆍ해병대는 18개월, 해군은 20개월, 공군은 21개월로 각각 줄어들 예정이었으나 전투력 약화를 우려한 정부가 복무기간 단축 계획에 제동을 걸면서 재조정됐다. 정부의 복무기간 단축계획 수정으로 육군ㆍ해병대는 2월 27일부터 21개월로 동결되고, 해군은 1월3일부터 23개월, 공군은 1월1일부터 24개월로 동결됐다. 병무청 관계자는 "지난해 천안함 피격사건과 연평도 포격 도발로 안보상황이 불안한데도 젊은이들의 군 지원율이 상승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며 "올해 1~2월에 각군의 복무기간 단축이 중단됐거나 될 예정인 것도 최근 모집병 지원율 상승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