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두산그룹, 지배구조 개선 빨라질듯

시민단체등 여론의식 "용단"…오너 3세일가 모두 사퇴<BR>일부선 "등기이사 여전히 등재… 아직 과도기적 단계"

박용만 (주)두산 부회장이 전격 사퇴함에 따라 두산그룹의 지배구조 개선 작업도 훨씬 빠르게 전개될 전망이다. 특히 비상경영위원회 중심의 지배구조 개선 로드맵 작업과 외국인 CEO 선임 문제 역시 한층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룹 안팎에서는 하지만 “박용만 부회장과 박용성 전 회장이 여전히 두산인프라코어와 두산중공업 등에 등기 이사로 등재돼 있는 만큼 과도기적인 단계”라고 평했다. ◇시민단체의 시선을 의식했다=두산그룹측은 박용만 부회장이 사퇴 결정을 내린 데는 그룹을 바라보는 주주 등 외부 시선과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 등의 시각이 곱지 않은 데 따른 용단이라고 소개했다. 박용성 전 회장 등도 비경위에 지배구조 개선 작업에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한 만큼 오너 3세들의 의지가 확고하지만 여론의 시선을 박 부회장이 수용했다는 설명이다. 이에 따라 각 계열사 전문 CEO를 중심으로 한 비경위가 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로드맵 마련 역시 훨씬 빨라질 수 밖에 없다는 게 그룹내부의 평가다. 두산그룹의 한 관계자는 “일부에서는 박용만 부회장이 여론에 떠밀려 대표이사 부회장직을 사퇴한 것으로 바라보고 있다”며 “하지만 박 부회장은 오너 일가에 대한 따가운 시선이 자칫 비경위로 옮겨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용단을 내린 것”이라고 전했다. 결국 오너 일가의 의지를 그룹 내외부에 다시 확인시키기 위한 결정이라는 설명이다. ◇지배구조 개선은 아직도 과도기=오너 3세 일가가 ㈜두산 경영권에서 모두 비껴 서있지만 계열사 등기 이사로 여전히 등재돼 있는 등 아직 과도기적인 단계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박 부회장은 ㈜두산 대표이사 부회장직을 사퇴하지만 두산중공업과 두산인프라코어의 이사직은 유지하게 된다. 또 박용성 회장 역시 ㈜두산을 제외한 이들 계열사에 아직 등기이사로 등재돼 있다. 오너 3세 일가가 지주사의 중심이 될 ㈜두산에선 모두 손을 떼지만 두산중공업과 두산인프라코어 등 계열사에선 여전히 입김이 작용할 수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두산그룹측은 지배구조 개선과 그룹의 성장 동력 확보와는 다른 사안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두산그룹의 한 관계자는 “박 부회장 등이 두산중공업 등을 중심으로 한 대우건설 M&A전에서 필요할 경우 지휘할 필요성이 있다”며 “지배구조개선을 위해 그룹의 성장을 꾀하는 전략을 올 스톱할 수 없는 만큼 과도기적인 단계로 평가해 달라”고 주문했다. 이는 박 부회장이 오는 2007년 3월과 2008년 4월에 각각 두산중공업과 두산인프라코어 이사 임기가 만료되는 만큼 단계적으로 사퇴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박 부회장은 지금까지 그룹 구조조정과 관련 총 15개의 굵직한 M&A를 전담하고 사실상 그룹 M&A를 모두 진두지휘 하는 등 그룹내 M&A전담팀을 이끌어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